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 초대 위원장 “과학 성장, 개방·협력 활성화에 달렸다”

입력 2011-03-28 22:14

“현대 과학기술을 관통하는 단어는 ‘융합’이며, 이는 개방과 협력으로 가능합니다.”

국가 연구개발(R&D)의 컨트롤타워가 될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이하 국과위)가 대통령 소속 상설 행정위원회로 28일 공식 출범했다. 김도연 초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S타워 내 국과위 사무처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과학기술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과 관련 기관은 지금보다 훨씬 더 개방적이어야 한다. 개방과 협력이 활성화 돼야 우리나라의 미래인 과학도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 각 부처 간에 과학기술 R&D를 개방해야 하고, R&D의 글로벌화를 위해서도 개방과 협력이 절대적인 지향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1년 국가 R&D 규모는 정부 15조원, 민간 기업 37조원을 합쳐 모두 52조원에 이른다. 우리나라 GDP의 4% 수준이며 규모 면에선 세계 7위에 해당된다. 김 위원장은 “정부의 R&D뿐 아니라 큰 그림 차원에서 민간 R&D까지 들여다보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학교와 연구소, 기업의 벽을 허물어 R&D의 선순환 체제 구축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과위는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사업부서 인력 중 45%를 민간 전문가로 충원해 전문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 민간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국장과 과장급에 민간 전문가를 영입할 것”이라며 “국과위 위원 10명 중 7명은 완전한 민간 전문가로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상임위원 2명 모두를 정부 관료(교육과학기술부와 기획재정부 출신)로 임명한 데 대해선 “어떤 조직이든 출범 초에는 체제 정비를 위해 공무원이 필요하다”고 해명했다.

교과부와의 업무 분담에 관해서는 “인력 양성을 교과부가 맡고 국과위는 정부 주관 R&D 분야에 집중할 것”이라며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하는가가 중요하다. 이렇게 분담된 체제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아울러 국과위가 당초 계획대로 국가 R&D의 기획 및 예산 배분·조정권과 함께 성과평가 권한까지 갖기 위해서는 현재 상임위에 계류 중인 ‘국가연구개발 등의 성과평가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하루빨리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부출연연구소 선진화 방안과 관련해 “정부 안에서도 계속 협의 중이고 국과위도 협의의 당사자로 참여해 좋은 방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현 정부 초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울산대 총장 등을 지냈다. 국과위는 다음 달 7일 출범을 알리는 현판식과 함께 첫 본회의를 열 예정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