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지구, 잠자는 부동산 시장 깨울까… 전문가들 “긍정적 신호지만 대형 호재 역부족”
입력 2011-03-24 00:45
서울 개포지구 재건축안이 23일 전격 통과되면서 침체된 주택시장이 활기를 띠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개포지구는 그동안 재건축시장의 동향을 판단하는 ‘바로미터’ 역할을 해왔다. 개포지구의 재건축이 지난 22일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거래 활성화대책의 ‘약발’에도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개포지구 재건축안 통과가 시장회복에는 긍정적인 시그널이 될 수 있지만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 김주철 팀장은 “그동안 강남재건축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황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재건축안 통과는 ‘시장이 움직이겠구나’라는 신호가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과거 주택시장의 호황기를 재연할 만큼의 ‘호재’가 되긴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의 주택시장이 집값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인데다 재건축단지의 경우 가격이 오를 만큼 올랐다는 것.
부동산114 김희선 전무는 “재건축 사업 속도가 빨라진다면 분위기가 다소 살아날 수 있지만 집값의 안정 기조를 추구하는 주택정책을 고려할 때 시장이 달아오르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건축 시장을 중심으로 한 해당 지역 부동산 경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어도 주택시장 전반에 온기를 불어넣을지는 불투명하다는 얘기다.
전날 정부의 부동산 거래 활성화 대책 발표에 이어 개포지구 재건축 승인이 확정된 23일 부동산과 금융시장에서는 관망하는 분위기가 뚜렷했다. 취득세 감면 등의 대책이 나왔지만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미온적인 분위기였다. 은행 창구 등에서도 대출 가능 금액 등에 대한 문의만 다소 늘어난 정도였다.
주택 취득세 감면에 따른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서울 잠실동의 K부동산 관계자는 “오전에 취득세 감면 정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 문의하는 전화가 몇 통 걸려오는 정도였다”고 말했다. 은행 창구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출 상담을 해오는 고객은 드물었다. 국민은행 금융상담센터 이정걸 팀장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원상회복과 관련해 얼마까지 대출이 가능한지 등에 대한 문의전화가 전보다 다소 늘었다”고 말했다.
다만 취득세 감면에 대해서는 적용 시기 등에 많은 관심이 쏠렸다. 실제 국토해양부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에는 취득세 감면 시점을 묻는 전화가 빗발쳤다. 주택구입을 고려하고 있거나 이미 계약을 해 잔금납부를 앞둔 수요자들로서는 취득세율 인하 시점에 따라 세 부담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부작용을 우려해 취득세 50% 감면 조치를 발표 시점인 22일부터 소급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찬 고세욱 김아진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