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현대重 ‘상선’ 우선주 갈등

입력 2011-03-23 21:23

현대상선 경영권을 둘러싼 범현대가의 다툼이 현대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의 갈등으로 빚어지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25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우선주 발행한도를 현행 2000만주에서 8000만주로 늘리는 정관 변경안을 상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분 23.8%를 보유한 현대중공업그룹이 반대하면서 난관에 부닥쳤다. 이에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경영권에 미련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현대중공업을 비난했다.

우선주란 배당 등에서 우선권을 갖되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말한다.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전환사채(CB)처럼 전환권 등을 부여해 발행하는 방식으로 현대상선이 의결권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상선은 우선주 발행한도를 늘리는 목적이 필요한 투자 재원을 마련하고 우호지분을 늘리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이를 반대하는 것은 현대상선 지분율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데 따른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그룹 측은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는 주주가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대한 것”이라며 “보통주 발행한도가 1억2000만주나 남았다는데 굳이 우선주를 발행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말 유상증자를 실시해 현대그룹과 우호세력의 지분을 41.78%에서 42.25%로 높였다. 반대로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은 나머지 범현대가 기업의 지분은 낮아졌다. 현대중공업그룹과 KCC 지분은 29.7%에서 27.78%로, 현대건설, 현대백화점, 현대산업개발 등 범현대가 지분은 11.94%에서 10.95%로 각각 떨어졌다.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지분을 늘렸지만 여전히 우호지분율을 합해도 50%에 못 미치는 만큼 언제든 경영권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재계 및 증권가에서는 현대중공업그룹이 실제로 그룹의 사업 간 시너지 효과나 현대그룹의 미래와 적통성 문제 등으로 인해 현대상선 경영권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한편 경영권 분쟁 소식이 전해지자 증시에서 관련 종목 주가는 폭등했다. 현대상선은 가격제한폭까지 올랐고 현대엘리베이터도 14.09% 치솟았다.

전석운 기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