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日정부 “피해 최대 25조엔”… 경제활동 손실 등은 빠져

입력 2011-03-24 00:42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자력발전소 현장 모습이 복구 작업에 참가했던 직원을 통해 공개됐다.

도쿄전력 하청 회사 소속으로 지난 17~19일 후쿠시마 제1원전 5·6호기 냉각 작업에 참가했던 50대 남성은 “4~5시간의 작업을 끝낸 뒤 몸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이 평소 건물 안에서 일할 때보다 높았다”고 전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3일 보도했다.

시즈오카(靜岡)현과 기후(岐阜)현의 긴급 소방구조대가 후쿠시마 원전 반경 20~30㎞ 내 병원의 환자 이송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들 구조대는 “안전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야마무라 다케히코 방재시스템 연구소장은 “도쿄소방청 등이 (위험이 훨씬 큰)발전소 내에서 방수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석연치 않는 부분이 있다”고 비판했다.

1987년 대한항공 여객기를 폭파시켰던 전 북한 공작원 김현희씨가 동일본 대지진 피해자 구조를 위해 100만엔(약 1400만원)을 기부했다. 산케이신문은 김씨가 남편을 통해 이 신문사의 서울지국에 “희생자의 명복을 빈다”는 내용의 편지와 함께 성금을 보냈다고 전했다.

미국은 지진과 쓰나미 피해 복구를 위해 미군 1만3000명을 투입했다. 미군은 지금까지 230t의 구호물자를 헬리콥터를 이용해 피해지역으로 날랐고, 사고 원전에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를 보내 정밀 영상을 일본 정부에 제공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피해 규모를 15조~25조엔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이를 토대로 추가경정예산 등 피해복구 예산을 짤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원전 사고와 송전제한에 따른 경제활동의 손실은 반영되지 않아 피해액은 더 늘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또 이번 대지진으로 발전소 등이 심각한 피해를 입자 전력 사용량이 많은 사업자별로 전력사용 상한제를 적용한 전력총량규제를 도입할 것을 검토 중이다.

일본에 주재하던 25개국 대사관이 대지진과 방사성 물질 누출 우려로 임시 폐쇄됐다. 가나가와(神奈川)현 요코스카(橫須賀)시 항만공항기술연구소 조사 결과 동일본 쓰나미의 최고 높이가 23.6m에 이르렀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한편 외교통상부는 “연락이 두절됐던 일본 동북 해안 지역의 22가구 가운데 18가구가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소재가 파악되지 않은 교민은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 4가구, 10여명으로 줄어들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