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군 리비아 공격] 美, 반군에 ‘무기’ 공급 검토

입력 2011-03-22 22:47

리비아 공습을 단행한 미국이 향후 어떤 태도를 갖느냐는 리비아 사태의 전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요소이다. 미국은 일단 ‘군사개입의 점진적 축소→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 퇴진을 위한 압박 강화→반정부군 측면 지원’ 등의 단계적인 시나리오를 갖고 있다.

남미를 순방 중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이번 공격이 유엔 안보리 위임에 따라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수주일이 아니라 수일 내에 (작전지휘권) 전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군 고위당국자들도 1단계 공습 이후엔 다국적군 지휘부가 군사작전을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직접 군사개입 확대 대신에 미국은 카다피 퇴진 압박을 위한 간접적인 군사개입 또는 비(非)군사적 압박 강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의 정책은 카다피가 물러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이를 위해 다국적군 활동에 막강한 해공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미군 당국이 “우리는 카다피를 쫓지 않고 있다”며 그의 제거가 목표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최첨단 전자정보 기기로 그를 추적해 다국적군으로 하여금 그를 제거토록 할 것이라는 예상도 많다.

카다피나 그의 가족, 측근들의 재산 동결 및 경제 제재 등 비군사적 압박도 미국의 시나리오 중 하나이다.

리비아 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해 반정부 세력에 대한 무기와 물자 지원 등도 검토되고 있다. 리비아 공습 이후 카다피는 “장기전 준비가 돼 있다”고 공언했다. 공군력과 방공망은 치명적 손실을 입었지만, 탱크와 중화기 등은 아직 건재하다는 걸 과시하는 대목이다. 따라서 미국은 반군 세력을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무기와 물자를 측면 지원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 중이라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반정부 세력이 카다피를 축출할 수 있게 실질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 내 진보 인사들은 의회와 협의 없이 또 다시 전쟁을 벌이고 있다는 이유로 오바마 대통령을 공격하고 있어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