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KT] 협력사 보호 ‘3불정책’ 선언

입력 2011-03-22 17:34


KT는 협력사와 스마트한 동반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이석채 회장은 취임 5개월째인 2009년 6월 ‘정보기술(IT) 산업 고도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상생방안’을 발표했다. 개방, 전략적 윈-윈(win-win), 상생문화 정착을 3대 원칙으로 해 중소기업과 동반성장하는 7대 중점과제를 담고 있다. 이후 KT는 최저가입찰 폐해를 줄이는 등 상생협력 정책을 실천에 옮겨 114개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구매 만족도 조사에서 5점 만점에 4.22점을 받았다.

지난해 7월에는 ‘3불(不) 정책’을 선언했다. 중소기업의 자원이 KT로 인해 낭비되지 않도록 하고, 기술개발 아이디어를 가로채지 않으며, 중소기업과 경쟁 환경을 조성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KT는 수요 예보제를 신설했다. 협력사가 KT의 구매 수요를 예측할 수 없어 생산·재고 관리에 어려움을 겪거나 제품 개발을 완료하고도 상용화가 안돼 자원을 낭비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협력사와 비밀유지 계약을 맺어 협력사 제안사항이 경쟁업체에 유출되는 것을 막고 있다.

또 협력사가 특허권을 단독 확보한 근거가 명확할 경우 평가 때 건당 최대 2점까지 가점을 부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13개 협력사가 17건의 특허를 출원했고 이중 3건은 KT 사업에 직접 적용될 예정이다. 정보통신 공사 전문업체 ‘영인이엔씨’는 농어촌이나 교외지역에 있는 통신주 지지대에 볼트와 너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최대 6배의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 특허를 받았는데 KT는 이 아이디어가 현장에 적용될 경우 연간 16억원의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분석했다.

박정태 구매전략실장은 “동반성장을 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대부분 협력사가 수동적인 입장이었지만 최근에는 스스로 혁신을 추진하고 품질경영을 강화하는 등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