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군 리비아 공격] 對리비아 공습에 분발?… 중동 ‘反정부 시위’ 격화
입력 2011-03-22 01:33
다국적군의 리비아 군사 개입을 계기로 중동 각국에서 반(反)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다. 이집트는 헌법 개정안이 국민투표를 무난히 통과해 올해 안에 권력의 민간 이양을 기대하게 됐다.
◇여전히 들끓는 중동=예멘에서는 33년째 장기집권 중인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에 대한 퇴진 요구가 군부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육군 제1기갑사단장인 알리 모흐센 알 아흐마르 소장 등 장성 3명은 21일(현지시간) 살레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촉구하는 시위대에 지지를 표명하고, 시위대 보호를 위해 시위 거점인 사나대학 인근 광장에 탱크를 배치했다.
유엔 주재 대사 등 공직자들의 사임 발표가 잇따르는 등 집권층의 이탈도 가속화하고 있다. 살레 대통령이 속해 있는 하셰드 부족조차 살레에 대한 퇴진을 요구했으며, 이슬람 성직자들도 상부의 명령에 불복종할 것을 촉구한 상태다. 수도 사나에서는 지난 18일 경찰의 시위 강경진압으로 숨진 시위대 52명의 장례식이 20일 치러졌고, 반정부 시위로 번졌다.
바레인에선 최대 시아파 정당인 이슬람국가협의회(INAA) 소속 의원 18명이 이날 수도 마나마의 유엔사무소 앞에서 국제사회가 바레인 사태에 개입해 줄 것을 촉구했다.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 남부 다라 지역, 모로코의 수도 라바트와 최대 도시 카사블랑카 등에서도 수만명이 시위를 벌이면서 정치개혁 이행을 촉구했다.
◇이집트 민주화 일정 시작=이집트에서는 시민혁명 후 마련된 헌법 개정안이 국민투표에서 가결됐다. 이번 국민투표를 감독한 사법위원회는 19일 실시된 개헌안 찬반 국민투표에 참여한 유권자 중 77%인 1850만명이 찬성표를 던졌다고 20일 발표했다.
‘시민혁명의 첫 열매’라는 평가를 받는 이번 헌법 개정안은 대통령 임기를 현행 6년에서 4년으로 줄이고, 한 차례만 연임이 가능하게 했다. 또 대선 출마자격을 대폭 완화하고, 국민의 동의 없이 비상계엄령을 6개월 이상 발령할 수 없도록 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개헌안이 국민투표에서 확정돼 이르면 오는 8∼9월쯤 대통령 선거와 총선이 치러지게 됐다.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 퇴진 후 군 최고위원회가 쥐고 있는 권력의 민간 이양이 연내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