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쓰나미·원자로 노심용해 등 ‘최악 상황’ 가정 원전 총점검
입력 2011-03-21 21:31
정부는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23일부터 1개월간 국내 21개 상용 원전과 연구로, 핵 주기시설(핵연료 생산·수거·폐기·재처리 시설) 등 주요 원자력 시설에 대한 총체적 안전점검에 착수한다. 특히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상황처럼 전력차단, 노심용해 등 원전 사고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안전성 확인과 대비책을 심층적으로 진단할 계획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1일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이주호 교과부 장관)를 긴급 소집하고 일본 지진 및 원전 사고에 따른 ‘국내 원전 안전점검 세부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주호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고리 1호기 등 20년 이상 가동 중인 원전이 중점 확인 대상이다. 지진보다 지진해일과 집중호우 등에 의한 피해 대책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합동점검반 공동 총괄위원장에 장승필 서울대(토목공학) 명예교수와 김영진 성균관대(기계공학) 교수를 위촉했다.
중점 점검 분야는 상용 원전의 경우 △지진 및 해일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여부 △침수 발생 시 전력, 화재 및 냉각계통의 취약성 여부 △중대사고 발생 시 대응 절차의 적절성 및 실현 가능성 △비상대응 체계의 적절성 및 실현 가능성 등 4개 분야다. 또 원전 각 호기별 특성을 반영해 점검 사항을 추가하고 장기 가동 원전의 경우 특히 구조물 및 기기의 건전성, 중대사고 대처 설비의 설치 및 정상 가동 여부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연구로 및 핵주기 시설은 해일 이외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침수 및 화재 대책과 방사성 물질 배출 관리의 적절성을, 방사선 비상진료기관은 비상진료 장비 및 의약품 비축의 적정성 등을 점검하게 된다. 점검 결과 정밀진단이 필요한 원전에 대해서는 ‘가동 중단(Shut down)’ 조치도 검토된다.
이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국내 원전의 안전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원자력 안전행정 관련 별도의 상설위원회 신설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