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구조 악화되던 작년 6월께… 부산저축銀 1000억 유치

입력 2011-03-21 02:24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20일 부산저축은행 경영진과 대주주의 불법대출 의혹과는 별도로 저축은행 부실화 우려가 커지던 지난해 6월 부산저축은행이 1000억원에 달하는 거액을 K사로부터 유치하게 된 경위를 파악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저축은행 대주주나 K사 경영진 사이에 부적절한 금전거래가 있었는지 확인하고 불법행위가 드러날 경우 형사처벌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저축은행 부실화가 한참 진행되던 시점에 거액을 유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투자유치 과정에서 커미션이 오갔는지도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K사는 부산저축은행의 계열사 지분 55%를 소유하고 있다. K사는 지난해 6월 1000억원 규모의 사모펀드를 통해 부산저축은행이 실시한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했다. 이 사모펀드에는 2006년 삼성X파일 사건 이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헌납한 8000억원으로 설립된 삼성꿈장학재단과 학교법인 포스텍이 각각 500억원을 투자했다.

하지만 지난해 6월은 정부가 저축은행 부실에 따른 시장 위기감을 진정시키기 위해 구조조정기금 2조5000억원을 투입, 부실채권을 매입하던 시기였다. 부산저축은행 계열사인 부산2저축은행의 경우 2009년 6월 자산 2조5097억원, 부채 2조3817억원이었으나 지난해 6월에는 자산 3조3450억원, 부채 3조2392억원으로 재무상황이 악화되고 있었다.

이처럼 부실이 악화되던 상황에서 부산저축은행이 1000억원을 유치했다면 반대급부가 있었을 개연성이 높다는 게 검찰의 생각이다. 당시 업계에서도 K사가 무리한 투자를 했다는 우려가 높았다.

검찰은 삼성꿈장학재단과 포스텍의 기금운용 관리위원으로 활동하던 K사 대표 장모씨가 고교 동문인 부산저축은행 대주주 박모씨, 경영진 김모씨의 부탁을 받고 영향력을 행사해 투자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삼성꿈장학재단 등은 지난달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 조치로 투자금을 날릴 위기에 처했다.

검찰 관계자는 “안정적으로 운용돼야 할 공익재단 기금을 K사가 저축은행에 투자하면서 손실이 예상된다는 것을 알았다면 죄질이 매우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제훈 이용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