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본發 부품난 따른 경제피해 최소화해야
입력 2011-03-20 17:52
주요 7개국(G7)이 일본 엔화 강세 저지를 위해 공동 개입에 나서면서 국제금융시장이 일단 진정세로 돌아선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동일본 대지진 발생 열흘이 지나면서 일본발(發) 부품난 등에 의한 실물경제 피해가 현실화된 게 우려스럽다. 이는 세계 각국 자동차·전자업계에 부품을 공급해오던 일본 주요 업체들의 가동이 줄줄이 중단된 데 따른 것이다. 이미 전 세계에선 관련 업체의 생산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당초 예상됐던 것이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 부품대란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의 생산라인이 지난주 일부 가동을 중단했고 유럽과 아시아 자동차업체들은 생산차질 위기에 직면했다. 전 세계 전자업계도 비상이다. 제한적이긴 하지만 국내 업체들의 피해도 가시화되고 있다. 르노삼성과 한국GM은 부품재고 관리 차원에서 조업을 일부 단축해 완성차 생산이 줄어들 전망이다. 전자업체들도 애로를 겪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20일 지식경제부 자료에 따르면 주요 부품 재고가 자동차는 1∼3개월, 휴대전화 1개월, 석유화학 3개월에 지나지 않는다. 사태가 오래 갈 경우 국내 산업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
업계는 물론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는 부품소재 재고량을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피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 중소기업의 어려움도 큰 만큼 거래처 알선이나 금융 지원 등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장기적으론 부품소재의 대일 수입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일본에 편중돼 있는 부품소재의 수입처를 다변화하는 게 과제다.
정부는 아울러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다시 반등해 국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가안정 대책에도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세계 경제는 아직도 시계 제로 상태다. G7 개입으로 급한 불은 껐지만 국제금융시장이 언제 또다시 출렁거릴지 모른다. 유엔 결의에 따른 리비아 공습 등 중동·북아프리카 정정불안이 지속돼 국제 유가도 가파르게 상승할 게 불을 보듯 뻔하다. 세계 경제가 불확실성으로 요동을 치고 있는 만큼 그 경제적 파장에 대해 정부는 최선의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