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모든 군사작전 즉각 중단”
입력 2011-03-19 00:49
리비아가 모든 군사작전을 중단하기로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행금지구역 설정 결의안이 채택된 지 15시간 만이다.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으로 치닫던 리비아 사태가 협상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리비아의 무사 쿠사 외무장관은 18일(현지시간) “자국 내 민간인을 보호하고 유엔의 결의를 준수하기 위해 정전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쿠사 장관은 이날 수도 트리폴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는 즉각적인 정전과 모든 군사작전의 중단을 결정했다”며 “(리비아는) 민간인 보호를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리비아는 자국에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과 그들의 재산도 보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쿠사 장관은 유엔의 군사개입 승인 조치가 리비아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유엔 안보리는 전날 밤 통과된 ‘결의 1973호’에서 “리비아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리비아 상공에서 모든 비행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카다피 부대의 공격을 받고 있는 민간인과 민간인 밀집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보리 거수 표결에는 15개 이사국 중 미국·영국·프랑스 등 10개국이 찬성했고 반대는 없었다. 중국 러시아 독일 인도 브라질 등 5개국은 기권했다.
국제사회는 유엔의 결정에 대체로 환영을 뜻을 밝히며 즉각 군사작전을 논의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민간인에 대한 폭력과 모든 공격 및 학대의 완전한 종결을 촉구하는 유엔의 요구”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프랑스와 노르웨이는 리비아에 즉각 군대를 파병하겠다고 밝혔다. 터키와 독일은 군사개입에 반대했다. 이집트 군대는 국경에서 리비아 반군에게 무기 운송을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미국은 군대 동원 방안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대신에 토마호크 크루즈 미사일과 무인정찰기, 지상 공격기 등 첨단 무기를 동원하는 긴급사태 계획(contingency plans)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승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