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좌편향 한국사 교과서 퇴출시켜라
입력 2011-03-17 18:06
이달부터 고교에서 사용되는 한국사 교과서들이 남북한 역사를 좌편향적이고 불균형한 시각에서 비교 서술한 것으로 밝혀졌다. 청년지식인포럼 ‘스토리 K’의 보고서에 따르면 교과서 6종 모두가 정도 차이는 있을지언정 북한은 우호적으로, 남한은 비판적으로 기술했다는 것이다.
교과서들은 해방 후 정부 수립 과정을 남한은 혼돈, 북한은 평화적 과정으로 묘사했고 분단 책임을 남한에 전가한 표현까지 있다. 김정일의 권력 세습에 대해 6종 중 5종이 ‘세습’ 대신 ‘계승’ ‘후계’라는 표현을 썼다. 북한이 낙후한 원인이 한·미·일 동맹 때문이라는 기술도 있다. 문익환 목사와 임수경의 방북에 대해 정부가 국가보안법을 적용하여 ‘탄압’하였다고 했다. 집필자의 생각이 부적절하게 투영된 표현이다.
이전에 사용된 한국사 교과서들의 좌편향성이 문제가 된 뒤 새로 만든 교과서도 같은 문제를 극복하지 못했다. 전반적으로 나아졌다고는 하나 핵심 부분에서는 여전히 좌편향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정보의 불균형을 구실로 북한의 독재는 비판하지 않고 남한의 독재만 부각시켰다. 교과서 집필자들의 좌편향성이 정도를 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힘든 일이다. 대한민국 건국의 정당성과 정치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하면 따돌림당하는 분위기가 관련 학계에 만연해 있는 게 아닌지 모르겠다.
새 교과서는 근현대사가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만큼 북한에 대한 서술량도 전보다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내재적 접근법’이라는 궤변으로 북한을 옹호하는 내용이 그만큼 늘어난 교과서라면 차라리 이전 교과서만 못하다. 한국사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남한에 대한 냉소와 북한에 대한 환상을 키워줄까 우려된다.
교과부는 교과서 검정의 경위를 살펴서 무엇이 어디서부터 잘못됐는지 밝혀내야 한다. 교과부가 말은 좌편향을 바로잡겠다면서 실제로는 왜 심의가 부실해졌는지 궁금하다. 교육 관료들 말만 믿을 게 아니라 이주호 장관이 직접 나서 진상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