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원전 안전점검 지시
입력 2011-03-17 01:11
이명박 대통령은 16일 일본 원자력발전소 폭발을 계기로 국내 원전 시설 안전점검을 정부에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오전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로 보내 지진해일 등 재해 대비 현황을 현장 점검토록 했다. 정부는 국민들의 방사능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전국 70개 자동 방사능 감시망 감측 결과를 매일 2회씩 교과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키로 했다.
정부는 이달 말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공공시설물 내진 상태와 재해 예고경보 시스템 등에 대한 정부 합동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정치권에서는 국내 원전 정책의 재검토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한나라당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동해안의 협소한 공간에 집결된 우리나라 원전의 안전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학계, 연구소, 관련 부처가 종합적으로 점검해 문제가 있으면 인정하고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원자력발전소 안전을 점검하고, 원자력 발전을 기본으로 하는 에너지 정책에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 행정안전위도 전체회의를 열고 지진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한나라당 김태원 의원은 “기상청 시뮬레이션 결과 일본 서해안에서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하면 강원도 강릉(25분) 삼척(23분), 경북 포항(17분) 울진(22분), 울산(31분), 부산(59분) 등에 파고 10븖 이상의 초대형 쓰나미가 도달한다”며 철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당 장세환 의원은 “2009년의 경우 한 해 동안 60회의 지진이 발생했다”며 “그러나 전국의 내진설계 건축물 비율은 16.3%에 불과하고 서울은 전국적으로 최하위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박연수 소방방재청장은 “현재 1∼2층 건물은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돼 있는데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모든 신규 건축물에 내진설계 의무화를 추진하겠다”며 “우리나라 공공시설물의 내진 보강을 2015년 43%, 2030년 80%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이날부터 인천국제공항과 나리타공항을 오가는 대한항공 항공편을 하루 4회에서 7회로 늘렸으며, 인천공항~하네다공항 왕복 노선 항공편은 180여석에서 280여석으로 기종을 변경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인천~나리타공항 노선을 하루 1회에서 2회로 증편했다. 또 일본 지원 창구를 외교통상부(각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성금)와 대한적십자사(민간 성금)로 체계화하기로 했다.
남도영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