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原電 인근 주민 표정… “대비 잘한다는 일본도 저 난린데… 무섭다”
입력 2011-03-16 22:25
정부는 국내 원자력발전소 21기가 모두 안전하다는 입장이지만 원전 주변 주민들의 불안과 동요는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신규 원전 유치를 희망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원전 반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고리원자력본부와 고리 1∼4호기, 신고리 1호기가 위치한 국내 최대 원전마을인 부산 기장군 기장읍 길천마을에서는 설계 수명 30년을 다해 2008년 1월부터 10년간 연장 가동 중인 고리원전 1호기의 안전성이 도마에 올랐다. 특히 고리원전은 지진 가능성이 상존하는 포항∼경주∼울산 활성단층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주민들의 불안은 더욱 크다.
주민 김모(60)씨는 “평소 대비를 잘한다는 일본이 저렇게 난리가 나는 걸 보고 불안하지 않을 수가 있겠느냐”며 “우리나라는 강진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지만 만일 지진이 발생하면 어떻게 될지 큰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 서토덕 기획실장은 “모든 기계가 내구연한이 다 되면 폐기를 하는데, 주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원전의 수명 연장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과 같은 대규모 사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고리 1호기에 대한 폐쇄 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 울주군 서생면 나사마을 신창도(50) 이장은 “인구 110만명이 모여 사는 대도시 인근에 수명이 다한 원전이 지금도 운영되고 있다니 불안한 마음이 많다”며 “정부가 오래된 원전에 대한 안전성을 다시 한번 점검해 국민의 안전을 보장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주지역에서도 방사능 물질 누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주지역에는 한수원 월성원전 1∼4호기가 가동 중이고 2기가 추가 건설 중이다. 또 내년에 수명이 끝나는 월성원전 1호기의 운전연장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의 방폐장이 건설되는 등 각종 원전 관련사업이 추진 중이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성명을 내고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는 올해 2월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10년간 수명을 연장했다가 결국 큰 사고로 이어졌고 지난 14일 폭발한 3호기도 설계수명이 끝나가는 노후 원자로”라며 “만약 정부가 월성 1호기의 수명 연장을 허가한다면 경주는 제2의 후쿠시마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부산·경주=윤봉학 김재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