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LNG·유연탄 수급책 마련키로

입력 2011-03-15 21:49

정부와 정치권, 기업들이 일본 대지진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지식경제부는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단체 및 에너지공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부품소재 및 에너지 수급 점검회의’를 갖고 가스공사와 남동발전 등 발전 5사를 중심으로 비상수급 태스크포스(TF)를 운영키로 했다. 일본의 원전가동 중지기간이 길어질 경우 LNG(액화천연가스)와 발전용 유연탄 등 화력발전의 연료 수요가 늘어 가격 상승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TF는 LNG 등의 수급 및 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물량 확보 등을 통해 수급 균형을 유지할 계획이다.

일본에서 부품소재를 수입하는 중소기업을 위한 대책마련 필요성도 제기됐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부품소재 대일 수입액은 381억 달러로 대일 총수입액(643억 달러)의 59.2%에 달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현재 상당수 중소기업은 1∼3개월 정도 비축된 재고를 활용하고 있는 등 당장 큰 영향은 없다”면서 “하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 상대적으로 위기대응 능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의 피해가 예상돼 수입선 다변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경제 단체들은 성금 모금 및 구호품 전달, 홍보캠페인 전개 등을 통해 일본 피해 지역 및 주민을 지원키로 했다.

지진과 쓰나미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 및 법 개정도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국토해양부는 한국해양연구원과 함께 파도가 제방을 넘어 침범하는 ‘월파(越波)’를 차단하는 접이식 방파구조물을 5년 만에 개발·공개했다. 이 구조물은 방파제 상부 등에 부착돼 평상시에는 접혀 있다가 태풍이나 해일 발생 시 공기 주입을 통해 벽처럼 세워져 월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한나라당 정희수 의원 등은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을 현재 3층 이상 건축물에서 모든 건축물로 확대하고, 특정 건축구조 내진강재 사용을 ‘권고’에서 ‘의무화’하는 내용의 건축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