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제1원전 방사선량 한때 법적 허용치 800배 치솟아
입력 2011-03-16 00:51
일본에서 ‘핵 재앙’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1~4호기가 폭발하고, 특히 2호기에선 폭발사고로 격납용기가 손상되면서 옛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악몽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더욱이 원전 폭발로 유출된 방사성 물질이 북동풍을 타고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대지진 이후에도 비교적 침착함을 유지하던 일본 국민들도 공포에 떨고 있다.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관방장관은 15일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3호기 부근 방사능 수치가 시간당 400밀리시버트(m㏜)까지 올라갔다”며 “신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1m㏜는 1000마이크로시버트(μ㏜)로, 400m㏜는 법적 허용치인 시간당 500μ㏜의 800배에 해당한다. 또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가 일반인에게 1년간 허용하는 연간 권고치 1m㏜의 400배에 달한다.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받는 자연방사선의 양은 1년간 1~2m㏜다.
의료계에서는 인체 건강에 바로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피폭량을 1㏜(1m㏜의 1000배) 정도로 본다. 하지만 500m㏜를 한번에 쐤을 경우 혈액의 림프구가 감소할 수 있으며 계속 지속되면 암에 걸릴 수 있다고 산케이신문은 지적했다. 따라서 일시적이라도 400m㏜는 다소 위험한 수치로 후쿠시마 원전을 관리하는 도쿄전력 직원은 위험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후쿠시마 인근 이바라키(茨城)현에선 통상의 100배 정도인 5μ㏜가 관측됐다. 가나가와(神奈)현, 도치기(檜木)현, 지바(千葉)현에서도 통상 수치를 훨씬 넘은 방사선이 검출됐다. 후쿠시마에서 240㎞ 떨어진 도쿄에서도 미량이지만 대기 중에서 방사성 물질인 세슘(Cs)과 요오드(I)가 검출됐다. 건강에 영향이 없는 수준이지만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이 계속될 경우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일본 정부가 원전 사고 축소에 급급하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재팬타임스 위클리’의 전 편집장인 시마츠 요이치(島津洋一)는 중국의 영자 인터넷매체 ‘The 4th Media’에 기고한 글에서 일본 정부의 원전사고 정보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실제로 일본 정부는 1호기 폭발이 일어난 지 2시간이 지나 폭발 사실을 발표했고, 정부의 설명이 이뤄진 건 이로부터 3시간 뒤였다. 시마츠 전 편집장은 “원전이 안전하다는 정부의 발표가 계속되지만 연일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