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국내서 지진 발생때 SNS 이용 경보 전파”

입력 2011-03-14 18:38


조석준 기상청장은 14일 “국내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 1차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 주민에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나 SMS 문자서비스를 통해 신속히 알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관계 부처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2분 정도인 지진경보 발령 속도를 2020년까지 10초 안팎으로 앞당기겠다”고 강조했다. 조 청장은 14일 오후 서울 신대방2동 기상청 사무실에서 본보와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조 청장은 “최근 들어 한반도 주변에 지진이 많이, 그리고 큰 규모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관련 부처가 새로운 지진 피해양상을 분석해 현실에 맞는 경보와 대비 체계를 통합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의 고통에 애도를 표한다”며 “이번 사태를 통해 국가안보관점에서 지진 대응전략을 짜고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지진으로 인한 해일이나 방사능 유출 피해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혹시 피해가 발생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청장을 비롯한 기상청 직원들은 동일본 대지진 발생 이후 24시간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조 청장은 일본 등 선진국에 한참 뒤진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 지진 경보 발령 속도는 120여초다. 지진 경보 선진국인 일본(5∼20초)이나 미국, 대만(이상 20∼40초)에 한참 뒤떨어진다. 지진 감지 이후 해일 등 2차 피해 예측은 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다.

이는 지진 관측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일본은 전국에 지진 관측소가 18㎞에 하나씩 설치돼 있다. 우리나라는 25∼30㎞ 수준에 불과하다. 조 청장은 “현재 112개 설치된 관측소를 314개로 늘려 지진 관측과 분석 속도를 2015년에 50초, 2020년에 10초까지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조 청장은 분석한 정보를 국민에게 신속하게 알리는 방법도 다각도로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지금은 지진이 발생하면 기상청이 분석 정보를 소방방재청에 통보하고 소방방재청은 다시 각 지방자치단체에 알려 대응을 지시한다. 경보 과정에 시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1∼2초 사이에 생사가 오가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천금같은 시간이다.

이에 따라 피해 예상 지역주민에게 사이렌이나 SMS 문자서비스, 트위터나 네이버 미투데이 등을 통해 지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또 지진통보시스템과 DMB 재난방송 송출시스템을 직접 연계하는 방식도 추진 중이다. 조 청장은 “지진 대응 시스템은 무엇보다도 국민의 생명을 구하는 데 1차적인 목표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대지진을 통해 지진 이후 발생하는 해일이나 화재 피해 외에 원자력발전소 폭발이 새로운 위험 요소로 떠올랐다”면서 “과거 데이터만 갖고 지진 피해 대응 전략을 짜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 청장은 “지진이 발생했을 때 일본에 출장 중인 직원과 와이파이 무선망을 통해 연락했다”며 “이는 과거에는 생각지 못했던 연락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1차 피해를 입어 TV나 유선전화망이 파괴된 지역에 2차 피해를 어떻게 알릴지 등을 고민할 때라는 설명이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