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日 지원에 정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입력 2011-03-14 18:03
동일본 대지진 이후 국제사회의 지원이 시작됐다. 14일 현재 88개 국가에서 구호물품과 구조팀을 급파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최악의 대재난 앞에서 망연자실하고 있을 일본 국민들에 대한 당연한 조치다. 어려움에 빠진 이웃을 돕는 것은 인종과 종교를 떠나 보편적인 인류애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우리도 12일 구호견팀을 현지에 급파한 데 이어 14일엔 100여명의 긴급구조대를 추가로 파견했다. 그런데 이는 주변국가들의 지원 규모에 크게 못 미친다. 미국은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를 센다이 앞바다로 보내 구호를 돕고 있고 다른 군함들도 속속 피해지역으로 도착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경제규모로 볼 때 미국의 지원규모와 비교하기엔 무리가 따른다. 그렇지만 이웃사촌 일본의 아픔에 좀 더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여야 정치인 모두 일본에 애도와 위로를 표하고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지원 방침은 확실치 않다. 정부도 아직까지는 100여명의 구조대 파견이 고작이다. 일본 정부가 구조인력 중심의 파견지원을 요청한 것이라면 더 많은 인력을 추가로 파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보를 비롯, 일부 언론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일본을 위한 모금활동이 시작됐으나 우리 정부는 조용하다.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14일 “청와대 전 직원이 일본의 고통을 분담하고 이웃을 지원한다는 차원에서 모금에 동참한다”고 말했을 뿐 정부의 공식 지원금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이 경제대국이기에 경제적 지원은 불필요하다고 보는지 모르겠으나 이는 이웃사촌으로서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다. 흔히 물질적 부조(扶助)에는 마음이 담겨 있고 이를 통해 서로는 끈끈한 연대감을 확인하기 마련이다. 우리의 경제력에 걸맞은 일본재난지원금을 조속히 편성하는 게 옳다.
일부 네티즌 사이에 과거사를 들먹거리면서 일본에 대한 지원을 반대하는 의견이 나돈다지만 이 역시 도리가 아니다. 심지어 일본의 재난을 아전인수식으로 해석해 행여 한류붐이 잦아들지 않을까 걱정이라는 둥, 일부 산업은 이번 재난 덕분에 득을 볼 수 있다는 등의 발언은 이웃의 고통 앞에서 주판알만 튕기는 천박한 태도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