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핵구름 편서풍 타고 태평양으로… 한반도 ‘일단 안심’

입력 2011-03-13 21:35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로 누출된 방사능 물질이 대기 중으로 퍼져 우리나라와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방사능은 편서풍을 타고 태평양으로 이동하고 있어 주변국에 피해는 아직 없다. 그러나 추가 폭발 등으로 상황이 언제 돌변할지 몰라 각국은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13일 오전 11시 울릉도의 방사선 준위가 평상시 수준인 시간당 0.139마이크로시버트(μSv)로 측정됐다고 밝혔다. 일본 대지진 이후 3일째 큰 변동이 없다. KINS 비상상황실 관계자는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칠 만큼의 대규모 방사능 유출이 보고되지 않았으며 기류도 편서풍 영향으로 태평양 쪽으로 흐르고 있어 현재로선 유출된 방사능이 국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KINS는 대규모 방사능 유출 사태에 대비해 비상상황실을 24시간 가동하면서 관련 연구 인력도 40명에서 50~6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기상청은 시뮬레이션 결과 누출된 방사능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다. 기상청 관계자는 “방사능이 1000㎞ 이상 떨어진 우리나라까지 오려면 풍향이 수시로 바뀌는 지표면 부근의 바람이 아닌 지상 3㎞ 이상에서 부는 바람을 타야 하는데 여기에선 1년 내내 동쪽으로 불기(편서풍) 때문에 사실상 닿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기중으로 방사능이 대량 확산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 계속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환경단체는 우려를 나타냈다. 녹색연합은 “후쿠시마 원전에서 최악의 상황인 노심 핵심 차폐물 파괴로 인한 방사능의 대기 확산 위험이 여전히 해소된 것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제2의 체르노빌을 대비해야 한다’는 제목의 긴급 성명서에서 “우리 정부는 최악의 상황을 예상해 외출금지 등 긴급 시나리오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방사능 유출 영향권에 있는 중국과 러시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원전 폭발 이후 해안 지방의 방사능 검측 활동을 강화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중국 환경보호부는 이번 폭발 사고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원전 건설 계획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타르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환경·기상 당국 관계자는 “현재 극동 지역의 방사능 수준은 정상”이라며 “핵구름이 극동으로 몰려올 경우엔 항공기와 헬기로 특수 시약을 뿌려 지상으로 가라앉힐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