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原電 안전·지진 대책 철저히 세워라

입력 2011-03-13 17:38

지진으로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해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까지 발생한 일본의 대참사는 한반도 대비 상황을 새삼 돌아보게 한다. 국내 원전은 지진에 안전한지, 재해 대응 시스템은 제대로 갖춰져 있는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세계 최고의 내진 시스템을 자랑하는 일본마저 엄청난 자연재해 앞에 속절없이 당했을 정도다. 이를 교훈 삼아 지진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지질학적으로 유라시아판 안쪽에 있어 일본에 비해 발생 빈도가 낮고 규모도 작지만 한반도에서 크고 작은 지진이 꾸준히 발생했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한반도 지진은 연 평균 43회, 올 들어 6회 관측됐다. 언제 또 지진이 일어날지 모른다. 대형 지진 여파가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한반도와 일본 서쪽 해상에서 규모 7.0의 강진이 발생할 경우 동해안 100m 이내 연안도시가 물에 잠긴다고 한다. 지진해일에 대피할 시간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예·경보 및 재난 대응 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해안이나 내륙의 강진으로 원전이 파괴돼 방사성 물질까지 누출되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 재앙이다. 만일에 대비해 원전 안전 대책을 재점검해야 하는 이유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고리 월성 영광 울진 등에 21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다. 원전 바로 밑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해 직격탄을 맞지 않는 한 안전하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현실적으로 규모 6.0 이상의 강진 가능성이 낮다고 하지만 자연재해는 예고 없이 찾아오는 법이다. 원전의 안전성을 세밀히 재확인해야 한다.

내진 설계 강화도 시급하다. 지진 대비 구조를 갖춰야 할 전국의 시설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곳이 81.6%나 된다. 공항 도시철도 등은 내진 설계가 비교적 잘 돼 있으나 일반 건축물과 학교 등은 거의 무방비 상태에 있다고 하니 관련 예산 확보 등 대책을 조속히 강구해야 한다. 한반도 지진에 대해 지나친 우려를 해서는 안 되겠지만 방심도 금물이다. 우리의 재산과 생명은 우리 손으로 지켜야 한다. 철저한 방재 대책만이 살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