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근로 줄이고 청년 일자리 늘린다
입력 2011-03-10 19:11
올해는 독거노인과 기초생활수급자 등 소외계층들이 공공근로 일자리 구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공공근로 일자리 사업규모가 축소된데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정책의 무게 중심이 청년 실업 해소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규모는 지난해 하반기(9∼12월) 7만5000명에서 올해 상반기 3만명, 하반기 1만명으로 줄어든다.
그나마 지역공동체 일자리 4만개중 10%인 4000개는 청년층 몫으로 따로 할당됐다. 노인과 중장년층 등 기존 공공근로 일자리는 최대 3만6000개로 지난해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대신 청년층의 일자리는 지난해보다 다소 늘어나고 대우도 좋아질 전망이다. 행안부는 청년층의 공공근로 참여 유도를 위해 하루 일당(간식비 포함)을 지난해 3만8000원보다 31.6% 오른 5만원으로 책정했다. 일자리 사업 내용도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이나 지역특산품 인터넷 판매 시스템 구축 등 청년층이 선호할만한 것으로 바꿨다. 사업비 248억원은 국비와 지방비로 절반씩 충당하며 사업은 3∼6월, 8∼11월 두 차례에 나뉘어 실시된다.
경북 포항시는 청년층 구직자가 고령층과 함께하는 공공일자리사업 참여를 꺼려함에 따라 별도로 참여자를 모집해 사업을 시행키로 했다. 자원봉사센터 유급 서포터 운영, 시청 및 읍·면·동 홈페이지와 상가소개 데이터베이스(DB)구축, 외곽지 시내버스 안내 도우미 등의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행안부는 또 지역발전상생기금 300억원을 투입해 오는 5월부터 내년 2월까지 지역 청년 3000명에게 취업 교육과 일자리 알선을 해주는 ‘일취월장 123’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경북 지역은 원자력 발전소 관련 인력을, 강원 지역은 레포츠 관련 인력을 양성하는 등 각 지자체가 지역 기업의 인력 수요를 조사하고 그에 맞는 직업 교육을 한 뒤 취직을 시켜주는 방식이다.
제주도는 올해 만 29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 10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청년희망프로젝트’를 처음 도입했다. 청년희망프로젝트는 광업·제조업·지식기반 서비스업·건설업 등의 업체가 미취업 청년을 채용하면 1인당 월 50만원의 임금을 2년간 지원하는 제도다.
전북지역 자치단체와 기업들은 청년 일자리를 만드는 ‘청년 2000’ 사업을 통해 올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255곳에서 모두 1312명을 채용하기로 했다.
황일송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