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남권특별자치도 가당한 소리인가

입력 2011-03-09 19:01

정치인은 소통능력과 포용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아무리 좋은 의견을 갖고 있다고 해도 상대방을 설득시키지 못하면 결국엔 파열음을 내고 대립과 분란을 초래한다. 정치인이 대화와 소통을 통한 포용력을 보여주지 않으면 리더십을 발휘하기가 쉽지 않다.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다른 능력은 차치하고 소통능력과 포용력 면에서는 젬병에 가깝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김 지사의 독단적인 업무 스타일이 도마 위에 오른 것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는 지난해 경남 지역 기초자치단체장의 대부분이 4대강 사업 추진에 찬성하는데도 반대 의견을 고수해 독불장군 같다는 지적을 받았다.

김 지사가 8일 부산 울산 경남을 통합한 ‘동남권특별자치도’ 수립을 제안한 것도 뜬금없다. 김 지사는 “동남권 위기를 새로운 발전 기회로 승화시키기 위해 부산 울산 경남의 행정·경제·생활권을 통합해 새로운 자치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자치입법권과 자치경찰권을 확보한 지방정부 구성안 등을 제안했다.

문제는 김 지사가 행정안전부 부산시 울산시와 사전협의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자신은 통합의 길로 갈 테니 따라오라는 식이다. 3개 시·도 통합 과정에서 경남도가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의도로밖에 읽히지 않는다. 일방적으로 제안을 했는데 누가 대화의 장에 나서겠는가. 부산시가 내용을 모르기 때문에 공식 입장을 내놓을 수 없고, 울산시가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한 것은 김 지사의 제안이 얼마나 독단적인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행정구역 개편은 지역 주민과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한 중앙정부와 지자체들이 국가 장래를 위해 최적의 선택을 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다. 또 선거구 조정과도 맞물리는 행정구역 개편은 정치적으로 미묘한 문제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김 지사는 813만명에 달하는 3개 시·도 주민들의 생활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사안을 즉흥적으로 제안하면 안 된다. 아울러 국론을 분열시키고 지역갈등을 초래하는 언행도 자제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