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스캔들’ 파문] 여야 “나라 망신… 검찰이 수사해야”
입력 2011-03-09 18:28
여야는 9일 중국 상하이 총영사관에 파견된 한국 외교관들과 중국 여성 덩신밍(鄧新明·33)씨의 스캔들 사건을 한 목소리로 질타하며 책임 추궁과 공직기강 점검을 촉구했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 연석회의에서 “이번 사건은 상하이판 ‘마타하리’ 사건”이라며 “공직기강 해이가 너무나 부끄러울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조사가 왜 부실하게 처리됐는지 철저한 책임 추궁과 조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몽준 전 대표도 “이번 사건은 한 마디로 국가 망신”이라며 “어떻게 외교부가 이 지경까지 왔는지 점검하고 수술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정의화 국회부의장은 “이명박 정권 후반기에 들어 공무원 사회 이완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기강 전반을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가 기강이 전면적으로 붕괴하는 느낌”이라며 “공직사회가 국가에 대한 충성, 국민생활에 대한 충정 없이 위에만 잘 보이면 된다는 도덕적 해이가 만연해 있다”고 비판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스파이 사건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 뒤 외교부와 법무부의 사건 축소·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당 신학용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덩씨가 수집한 기밀정보 내용과 행위 등을 보면 2004년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관 직원이 중국 정보 당국의 미인계에 당했던 사건과 아주 흡사하다”며 “덩씨는 단순한 여권 브로커가 아니라 중국 스파이일 개연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소속 의원들도 이날 열린 전체회의에서 정부의 미흡한 대응에 강한 질책을 쏟아내고 국무총리실과 외교통상부 조사의 신뢰성에 의구심을 드러냈다.
한나라당 김영우 의원은 “200명이 넘는 정치인 휴대전화 번호는 물론 상하이 엑스포에 참석했던 대통령의 동선과 일정까지 유출됐다”고 우려한 뒤 “김정기 전 상하이 총영사가 언론 인터뷰를 하고 있는데 해서는 안 될 말을 너무 많이 하고 있다”며 외교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당 간사 최재성 의원은 “상하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곳이고 윤봉길 의사가 일제에 항거해 폭탄을 던진 곳”이라며 “그런데 정부 관리들이 수치심의 폭탄을 던져버렸다”고 꼬집었다. 같은 당 박주선 김동철 의원은 “국무총리실은 강제 수사권도 없고 민간인 사찰을 주도했던 기관이기 때문에 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며 검찰 수사를 요구했다.
김성환 외교부 장관은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고 국민 여러분께 심려 끼쳐드린 데 대해 송구스럽다는 말씀 올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