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 임시이사체제 영광학원, ‘제2 상지대 사태’ 번지나

입력 2011-03-09 18:16

17년간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돼 온 학교법인 영광학원(대구대 등의 학교법인) 재단정상화 문제가 대결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비리재단(옛 재단) 복귀는 절대 안된다’는 대학 구성원들과 옛 재단 측이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어 자칫 ‘제2의 상지대 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다.

영광학원 정상화추진위원회(정추위)는 오는 17일로 예정된 교육과학기술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 전체회의에 앞서 “2006년 교과부의 요청에 따라 영광학원에서는 설립자의 장손, 학원의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정추위를 구성하고 재단정상화 방안을 마련했다”면서 “정추위 차원에서 마련한 정상화 방안을 사분위가 원안대로 통과시켜줄 것을 촉구했다”고 9일 밝혔다.

정추위는 또 “사분위가 종전 이사측에 경영권을 회복시켜줘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하면서 상경투쟁을 준비하고 있다. 정추위는 지난해 11월 임시이사를 대체할 정이사 후보 7명의 명단과 재단 정상화 방안을 교과부에 제출했다.

그러나 설립자 장손의 어머니를 비롯한 나머지 가족들과 임시 이사 체제 직전까지 이사로 있었던 ‘옛 이사’들은 별도의 재단 정상화 방안을 교과부에 제출했다. 이들은 “대구대는 다른 학원들과 달리 횡령과 입시부정, 부정부패 등 재단비리로 인해 임시이사가 파견된 대학이 아니라 특정 이념에 경도된 교수들이 총장 직선제를 요구하며 학생을 선동하고 분란을 야기해 학원을 탈취한 사례”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달 17일 ‘대통령에게 드리는 호소문’이라는 형식의 광고와 같은 달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의 기자회견을 통해 종전이사 중심의 대구대 정상화를 촉구했다.

경산=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