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사이버 군비’ 경쟁

입력 2011-03-08 22:06

‘사이버전쟁’ 시대를 맞아 미국 등 세계 각국이 사이버 무기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 신문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7일(현지시간) “2011년 현재 세계가 사이버전쟁 시대를 맞고 있다. 이는 2차 대전 후 핵전쟁 시대의 도래에 맞먹는 충격”이라고 보도했다.

본격적인 사이버전쟁 시대 개막을 알린 건 신종 악성코드 스턱스넷(Stuxnet)의 등장이다. 스턱스넷은 지난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해 원심분리기 1000여대를 고장냈다. 전 세계에 준 충격은 1945년 일본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에 비견된다. 사이버 무기가 중요 시설에 물리적 피해를 입힐 수 있음을 입증했기 때문이다.

100여개국이 공격용 사이버 무기를 개발하는 등 사이버전 역량을 축적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5월 사이버사령부를 창설, 지상·해상·공중·우주에 이어 사이버 공간에서도 패권을 확보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이스라엘 등은 방어에서 공격 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다.

선두주자인 미국이지만 사이버전쟁에 대한 불안과 우려가 적지 않다. 우선 공격 주체가 불명확해 공격을 당해도 보복이 쉽지 않다. 또 악성코드 등 사이버무기는 당초 목표 외에도 피해를 순식간에 세계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더구나 해커에서부터 테러리스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사이버무기를 가질 수 있다. 미국은 국토안보부 산하 ‘국가사이버안보·커뮤니케이션통합센터(NCCIC)’의 ‘아인슈타인 II’를 비롯해 국방부, 국가안보국(NSA), 연방수사국(FBI) 등이 정부 전산망 공격 모니터링 센터를 운영 중이다.

IT 의존도가 높은 미국은 오히려 사이버전쟁에 가장 취약하다는 분석도 있다. 북한처럼 IT 수준이 낮은 국가일수록 덜 취약하다고 CSM는 보도했다. 미 NSA 출신 전문가 찰리 밀러는 최근 북한이 앞으로 3년간 사이버 전문가 600명과 5000만 달러(약 550억원)만 투입하면 사이버전쟁에서 미국을 이길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승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