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법무·지경부·경찰 다 낚였다…덩모 여인에 영사 등 최소 7명 연루
입력 2011-03-09 00:39
중국 상하이 주재 총영사관에 근무하던 외무관과 법무·지식경제부와 경찰 등의 주재관들이 30대 중국 여성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일부는 우리 정치권과 정부 및 대사관의 기밀을 유출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외교통상부와 총리실 등에 따르면, 상하이 총영사관 외교관들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의혹을 받고 있는 중국 여성 덩(鄧)모(33)씨의 이동식저장장치(USB)에서 법무부 소속 H(41·퇴직), 지식경제부 소속 K(42·국내 복귀), 경찰청 소속 K(43·퇴직) 전 영사 등과 함께 친밀한 포즈로 찍은 사진이 보관돼 있었다. 또 덩씨가 김정기(51) 당시 상하이 총영사와 외교부 소속 P(48) 영사는 물론 경제단체 현직 고위간부 O씨 및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다른 1명과 함께 촬영한 사진도 들어 있어 이번 사건 연루자가 최소 7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덩씨의 한국인 남편 J(37)씨는 이 자료를 지난 1월 국무총리실 공직윤리복무관리관실에 제보해 영사 3명에 대해 조사가 진행됐다. 이 가운데 H 전 영사는 불륜관계를 인정한 뒤 사표를 냈다.
USB 자료에는 이와 함께 김윤옥 여사를 포함한 한국 정·관계 인사 200여명의 명단과 휴대전화번호 자료, ‘대외보안’이라는 도장이 찍힌 상하이 총영사관 비상연락망과 사증발급 현황 자료 등 각종 내부 자료가 포함돼 있었다. 총리실은 정·관계 인사 200명의 연락처 문건이 김 전 총영사의 문서였던 사실을 확인, 뒤늦게 조사를 벌였다. 그러나 김 전 총영사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자료 유출 혐의를 부인하며, 자신을 음해하는 국내 정보라인이 모두 꾸며낸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 밖에 공직윤리복무관실이 확보한 덩씨 소유 한국 정부 내부 문건 목록에는 법무부 내부 통신망에서 출력된 상하이 총영사관 근무 비자업무담당 모 직원의 인적사항 자료도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이번 사건에 여러 부처 공무원들이 연관된 만큼 일단 관련기관의 조사를 지켜보되, 수사 의뢰가 들어올 경우 정식으로 수사에 착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성규 이용훈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