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자율권 줬지만… 진단평가, 자체 실시하는 곳 거의 없어

입력 2011-03-07 21:21

서울시교육청이 초·중학교 학습 내용 진단평가 방식에 자율권을 허가했으나 실제로 자체 평가를 실시하는 학교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은 8일 초등학교 3∼5학년과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교과학습 진단평가’를 실시한다.

시교육청은 앞서 지난달 말 “별도의 방법으로 진단평가를 시행하려는 교사가 있는 학교에서는 해당 교사의 진단평가 시행 및 결과활용 계획서를 제출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학습 내용에 대한 평가는 의무로 하되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자체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율권을 보장한 것이다. 그러나 자체평가를 실시하는 곳은 초등학교 591개교 중 13개교, 중학교는 377개교 중 9개교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사들이 진단평가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고 시험 결과가 학교서열화 자료로 활용되지 않기 때문”이라며 “자율권 허가를 지난달 말 공지했기 때문에 자체 평가도구를 개발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한 탓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경기 전북 전남 등 3개 시·도교육청은 진단평가 시행 여부, 과목 수 등을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으며 강원·광주 교육청은 진단평가를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