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화’ 3차 집회도 원천봉쇄… 中공안, 41개 예고도시 통제

입력 2011-03-06 18:35

‘중국판 모리화(茉莉花·재스민) 혁명’을 위한 3차 집회가 중국 공안당국의 철통경비로 또다시 원천 봉쇄됐다. 중국 공안당국은 지난달 20일과 27일의 제1, 2차 모리화 집회도 물리력을 동원해 강경 대응함으로써 집회 자체가 열리지 못했다.

공안당국은 6일 베이징 왕푸징(王府井) 거리 등 인터넷상에 예고된 41개 도시 주요 장소에 공안인력을 대거 동원, 현장을 철저히 통제했다. 베이징의 경우 지난 1·2차 집회 장소인 왕푸징 맥도날드 매장과 KFC 앞 광장이 사실상 폐쇄됐다. 베이징 공안당국은 특히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대회)가 개최되는 점을 감안해 왕푸징 등 집회 예정지는 물론 천안문 주변에 대한 경계도 강화했다. 천안문 광장에서는 5일 2건의 시위가 발생해 최소 4명이 공안당국에 연행됐다고 홍콩 언론들이 보도했다.

앞서 미국의 인권단체가 운영하는 중국어 인터넷 사이트인 보쉰(博迅) 등에는 베이징을 포함해 상하이 등 41개 도시에서 이날 오후 2시 동시에 3차 집회를 갖자는 글이 게시됐다고 홍콩 명보가 보도했다. 베이징의 경우 1·2차 집회 장소였던 왕푸징을 포함해 10개 지점이 집회 예정지로 예고됐었다. 지난 5일엔 베이징대, 칭화대 등 중국 주요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리화 집회 참여를 촉구하는 글이 게시되기도 했다.

공안당국은 텅뱌오(騰彪)·장톈융(江天勇)·쉬즈융(許志永) 변호사를 비롯한 반체제 인사 및 인권운동가들에 대한 가택연금과 격리조치 등을 계속하고 인터넷 통제도 강화했다.

공안당국은 최근 10여명의 외신기자들에게 반정부 시위가 기획된 지역에서 사전통보 없이 취재 활동을 계속할 경우 비자를 취소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독일 등 서방 국가들은 중국 당국에 강력히 항의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사회 안정을 위한 공안 분야 예산을 지난해보다 13.8% 늘린 6240억 위안(106조원) 이상을 책정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이날 보도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