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1명 전원 귀환 위해 모든 수단 동원”… 정부 곤혹 北 움직임에 촉각

입력 2011-03-07 01:08

지난달 5일 서해 연평도로 넘어온 북한 주민 31명 중 4명이 남한 잔류를 희망한 가운데, 북측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전원 송환을 관철시키겠다고 엄포를 놨다. 정부는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북한행을 결정한 27명을 돌려보낼 계획이지만 북측이 당분간 전원 송환을 요구하며 버틸 것으로 보여 고심하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5일 “이번 사태(4명 잔류)를 결코 수수방관하지 않을 것이고, 이를 위해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통신은 “우리 주민들 모두 처음부터 공화국으로 돌려보내 줄 것을 요구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우리의 정당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북남관계에 엄중한 후과(결과)를 미치게 될 것”이라는 전날 남측에 보낸 구두 통지문을 전하며 이같이 경고했다. 그러나 ‘가능한 수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정부는 다소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북측이 전원 송환을 요구하며 버티는 사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6일 “남한에 보호신청(귀순)을 한 4명을 북으로 돌려보내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면서 “나머지 27명을 돌려보낼 수 있도록 북측과 7일 오전부터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4일처럼 이들을 먼저 판문점 근처로 이동, 대기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의 반응을 기다리며 주민을 7∼8시간이나 기다리게 하는 것이 적절치 않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정부 소식통은 “북측이 ‘귀순 공작’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빌미를 준 것은 사실”이라며 “우리 언론을 통해 정부가 이들에게 서울 관광을 시켰다는 등의 얘기 등이 흘러나오면서 북한이 더 강하게 반발하는 측면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따라서 당분간 남북이 27명 송환을 두고 줄다리기를 벌일 전망이다. 정부는 북측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북측이 보복 차원에서 남측 어선을 나포하거나, 개성공단에서 사소한 트집을 잡아 우리 국민을 억류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측도 귀순자 4명을 빌미로 북한행을 결정한 27명이 북한으로 들어오는 것을 장기간 거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북한 스스로 “남조선에 억류된 우리 주민들은 대부분 어린 자식을 둔 주부”라면서 인도주의 차원에서 접근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키리졸브 한·미 연합연습이 끝나는 오는 10일 등 일정한 시점이 지난 뒤 27명의 송환을 받아들인 다음 남측의 태도를 봐가며 추가 대응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