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상임위 초점-환경노동] “모범적으로 묻었다는 곳도 지하수 오염” 추궁
입력 2011-03-03 22:15
여야 의원들은 3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 전체회의에서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와 관련한 정부 대책을 추궁했다.
환경부는 현안보고에서 “오염이 우려되는 매몰지 인근 하천에 수질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한강 및 낙동강 상류 인근 17개 매몰지 주변을 지난달 조사한 결과 아직까지 침출수로 인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혹한기에 방역 위주의 긴급 매몰을 하다 보니 매몰기준 준수가 미흡했다”며 “문제가 있다고 보고 된 매몰지를 대상으로 3월 말까지 정비를 완료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매몰지에서 500m 이내에 위치한 지역에서 지하수를 먹는 사람은 13만명인 것으로 파악됐다”며 “매뉴얼대로 매몰했으면 지하수가 오염됐을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모범적으로 매몰했음에도 지하수가 오염된 지역이 있다. 해당지역 우물과 수돗물에서 악취가 난다”며 이 장관에게 병에 담아 온 물의 냄새를 맡아 보라고 했다. 홍 의원은 또 침출수 유출을 막기 위한 비닐을 깔지 않고 돼지를 매몰하는 모습, 바닥에 물이 고인 상태에서 돼지를 매몰하는 모습 등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은 “매몰지 인근의 1600곳 마을 주민에게 지하수 음용을 중단하라고 선언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한나라당 강성천 의원은 “구제역 발생 초기에 환경부와 농림수산식품부의 긴급행동지침이 서로 달랐다”며 “특히 농림수산식품부의 행동지침에 매몰지 선정 시 하천, 지하수와의 거리가 구체적으로 규정되지 않아 부실 매몰로 인한 침출수 문제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손범규 의원은 “정부가 ‘안전하다’는 쪽에 너무 방점을 두는 것 같다”며 “덮어놓고 괜찮으니까 걱정하지 말라고 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은 “정부가 정확한 매몰지 현황을 자꾸 숨기고 있어 국민들이 불안해한다”고 따졌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