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도 속터지는 정부 부실대응… 김무성 대표·서병수 최고 질타

입력 2011-03-03 18:38


치솟는 물가와 각종 민생고(苦)로 여론의 부담을 느낀 여당이 정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김무성(사진 왼쪽) 원내대표는 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저축은행 부실사태와 관련, “당국은 저축은행 대주주와 경영진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사를 통해 제재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원내대표는 “저축은행을 사금고로 여기는 대주주가 문제로, 이들을 막지 못하면 악순환은 계속될 것”이라며 “당국은 이런 비리를 파헤쳐야 하며, 횡령·배임과 같은 혐의를 적용해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축은행 문제는 대주주의 문제도 있지만 금융당국의 실패가 가장 큰 이유”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구조조정을 하지 않거나, 저축은행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올인하도록 하는 정책을 썼다고 비판한 뒤 “이명박 대통령 정부에 들어서도 금융위기로 PF대출 부실이 예견됐으나, 대형 저축은행의 부실 저축은행 인수를 유도해 동반부실을 낳았다. 이런 잘못된 정책을 쓴 당국자의 명단을 공개해 국민들이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병수(사진 오른쪽) 최고위원은 물가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그나마 간간이 식탁에 올리던 국민생선 고등어와 오징어도 이제는 부담스러워서 밥상을 풀밭으로 차린다고 서민들이 하소연하고 있다”고 시중 여론을 전했다. 이어 “2월 물가에 반영되지 않은 대학등록금 등이 3월 물가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넘어서는 악몽과도 같은 결과가 오지 않을까 우려된다”면서 “이 와중에 정부는 물가 관리에 아예 손을 놓아 버린 것 같은 느낌”이라고 부실 대응을 질타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