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모리화 시위’ 차단 목적 베이징·상하이 쇼핑 중심지 사실상 ‘취재금지 구역’ 설정

입력 2011-03-03 18:10

중국 당국이 최근 ‘중국판 모리화(茉莉花·재스민) 혁명’을 위한 시위 발생 가능지역을 사실상 ‘취재금지 구역’으로 설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공안당국이 모리화 집회 예정지역으로 지목된 베이징과 상하이의 쇼핑 중심 지역을 ‘취재금지 구역’으로 규정, 원천적인 차단에 나섰다고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당국의 공식 발표는 아니지만 베이징 왕푸징(王府井)과 상하이 인민광장 등을 취재할 경우 특별허가를 받도록 한 것으로 미뤄 사실상 ‘취재금지 구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달 27일 ‘모리화 2차 집회’가 있을 당시 왕푸징 등 집회 예정 장소에서 몇몇 외신 기자들은 특별허가를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중국 공안에 제지당하거나 격리됐었다.

중국 외교부는 그러나 공안당국의 질서유지 노력일 뿐 취재금지 구역을 설정한 사실은 없다고 부인했다. 장위(姜瑜)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부 기자들이 사전에 취재 허가를 얻어야 하는 절차를 지키지 않아 경찰이 법에 따라 (조치를) 한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시위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같이 취재를 제한하는 행위는 모리화 시위 확산 가능성에 대한 중국 정부의 우려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NYT는 해석했다.

한편 중국 공안당국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시작된 데다 6일 ‘3차 모리화 집회’까지 예정되자 경비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특히 베이징 천안문광장 주변은 검문검색이 강화되고 무장경찰이 배치되는 등 경비가 삼엄한 상태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