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 합동, 제비뽑기 선거제 유지키로 유권 해석

입력 2011-03-02 19:16

“제비뽑기는 올해도 계속합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총회는 2일 임원 선출 때 제비뽑기 선거제도를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예장 합동 총회는 “지난달 17일 서울 대치동 총회회관에서 임원회를 열어 정치부가 요구한 선거법 관련 추가진행 요청과 선거관리위원회의 질의를 놓고 법률 자문까지 받아가며 장시간 논의했다”면서 “그때 우세했던 현재의 선거법(제비뽑기) 고수 안을 그대로 따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올해 영남지역에서 출마하는 부총회장도 제비뽑기로 선출되게 됐다.

그러나 ‘교단 리더십을 바로 세우기 위해선 선거제도를 반드시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오는 9월 개최되는 제96회 총회에서도 11년간 유지된 선거제도 변경을 놓고 뜨거운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한국교회 연합기관 등에서 발생한 금권선거 문제가 교단 선거제도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김삼봉 총회장은 “제비뽑기 선거제도가 유효하다는 총회의 결정대로 따르기로 했지만 이것이 대다수의 입장인지는 모르겠다”면서 “교단 외부의 논란이 선거제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영우 총신대 재단이사장은 “임원회에서 유권해석을 내렸지만 법적으론 ‘제비뽑기+직선제’ 안이 살아 있다고 본다”면서 “교단 외부 논란이 올해 선거제도 변경 논의에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 이사장은 “‘제비뽑기+직선제’가 전면 직선제를 원하는 측과 제비뽑기를 원하는 측의 요구를 적절하게 담고 있기 때문에 아마 이번 총회에서 채택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예장 합동은 지난해 제95회 총회에서 ‘제비뽑기+직선제’를 통과시켰다가 하루 만에 뒤집은 바 있다. 당시 대의원들은 정치부 원안으로 선거제도 변경을 결정했지만 다음날 다시 규칙부 안을 두고 표결에 들어가 부결시켰다. 따라서 총회에선 절차상의 문제를 두고 “제비뽑기 제도가 그대로 유지됐다”는 입장과 “법리적으로 맞지 않기에 제비뽑기 제도가 폐기된 게 맞다”는 상반된 입장이 충돌했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