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화되는 미국의 리비아 개입… 군사력 시위·자산 동결 ‘카다피 축출 작전’ 시동
입력 2011-03-01 18:13
미국의 리비아 사태 개입이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화되고 있다. 지난달 25일 리비아에서 자국민 철수를 완료시킨 이후부터다.
국방부의 군사적 개입 준비,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에 대한 백악관과 국무부의 강력한 퇴진 발언, 재무부의 미국 내 리비아 자산 동결 등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이다. 미국의 ‘카다피 축출 작전’이 본격화된 셈이다.
미국은 카다피의 ‘이상 행동’을 계속 방치할 경우 국가 안보·경제 이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 국방부는 28일(현지시간) 해군 함정과 공군 항공기들의 리비아 인근 배치 사실을 발표했다. 이례적으로 모든 외신기자들에게도 이메일을 통해 신속하게 알렸다. 해·공군력 배치가 ‘유연한 대응과 다양한 옵션들’을 감안한 것이라고 밝혀 군사력 사용 계획이 수립됐음을 의도적으로 내비쳤다. 어느 때라도 무력 개입을 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때맞춰 리비아 국경에 구호팀도 파견했다. 인도적 차원이지만 활동 과정에서 군사적 행위가 개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조치다.
백악관과 국무부도 동시에 카다피가 ‘즉각 물러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백악관은 리비아 사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카다피가 해외 망명을 하는 것뿐”이라고 아예 방법까지 제시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워싱턴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리비아 사태 등을 논의한 것도 미국의 개입 의지를 분명하게 내보인 것이다.
재무부가 발표한 3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내 리비아 자산 동결 조치는 경제적으로 카다피 정권을 묶어놓겠다는 뜻이다. 재무부는 추가적인 경제제재 조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이 리비아 사태에 군사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당장 해·공군력이 위력 시위를 벌이거나 지상군이 파견되는 등 조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미군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묶여 있는 데다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단 유엔을 통해 서방국들과 리비아 상공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등 간접적인 방안부터 순차적으로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카다피 정권이 대량 학살을 자행하는 등 리비아가 내전으로 치닫을 경우엔 평화유지 명목으로 구체적인 무력 개입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 난민 탈출·보호를 위해 리비아 국경 안팎에서 제한적인 군사적 활동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미 언론들은 전망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