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핏빛 리비아] 각국 속속 제재 동참… 군사개입은 신중, 자산동결은 순조

입력 2011-03-01 00:58

리비아를 겨냥한 국제사회의 압력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리비아 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한 데 이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추가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영국 캐나다 호주는 자국 내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 일가 및 카다피 정권 핵심 관계자의 자산 동결 등의 방안을 발표했다. 리비아의 맹방인 이탈리아마저 카다피 정권에 등을 돌렸다. 유럽연합(EU)의 리비아 제재조치도 임박했다고 AP통신 등이 28일 보도했다.

카다피 재산의 상당 부분이 은닉된 것으로 알려진 영국에서는 27일 카다피 일가 자산에 대한 동결 조치가 내려졌고, 이들의 외교 면책 특권도 박탈됐다. 조지 오스번 영국 재무장관은 이날 “유엔의 대(對)리비아 제재 결의를 영국에서 실행하기 위해 (월요일) 금융시장이 열리기 전 신속한 조치를 하기로 했다”며 “이는 잔혹하게 시위대를 진압하는 리비아 정권에 대한 강경한 메시지”라고 말했다.

프랑코 프라티니 이탈리아 외무장관은 “카다피 정권의 종말이 불가피하다”며 2008년 리비아와 맺은 우호 협정의 효력을 중지시켰다. 과거 리비아를 식민 지배했던 이탈리아는 리비아 독립 이후에도 돈독한 맹방 관계를 유지해 왔다.

유럽의 외교·안보문제 싱크탱크인 유럽외교관계이사회(ECFR)는 최근 발행한 긴급 보고서에서 리비아 군사 개입 시나리오로 5가지를 제시했다.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자국민 구출을 위한 군대 파견, 석유·에너지 시설보호 병력 파견, 반정부 세력에 공군력 지원, 대규모 평화유지군 파견 등이 거론됐다.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카다피 친위부대가 전투기나 전폭기를 동원해 반정부 세력을 제압하지 못하게 하는 조치다. 이를 어길 경우 군사적 응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군사 개입의 주요한 조치로 인식된다.

프랑스는 28일 리비아 벵가지 등 반정부 시위대가 장악하고 있는 지역에 대규모 의료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리비아 사태 이후 국제사회의 인도주의적 대규모 지원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