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이집트 과도기 혼란… 예멘·오만 시위 확산
입력 2011-03-01 00:59
리비아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중동과 북아프리카 각국의 정세도 계속 요동치고 있다. 반정부 시위가 연일 계속되면서 각국 정부는 이를 진정시키기 위해 강경 대응과 온건 대응을 구사하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과도기적 혼란 튀니지와 이집트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 전 대통령 축출 이후 튀니지 과도정부를 이끌고 있는 모하메드 간누치(69) 총리가 27일(현지시간) 사임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벤 알리 전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간누치 총리는 반정부 시위대로부터 사임 압박을 받아 왔다. 오는 7월 15일 선거를 앞둔 튀니지에선 벤 알리 대통령이 축출된 이후에도 과도정부를 비판하는 시위가 계속됐다.
이집트에선 아므르 무사(74) 아랍연맹 총장이 이날 대선 출마 의향을 공식 밝혔다. 무사 총장의 대선 출마 표명은 헌법개정위원회가 대선 출마 자격요건 완화를 건의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그리고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에 참여했던 장관들 중 처음으로 하비브 알 아들리 전 내무장관이 직권남용 등 혐의로 오는 5일 재판을 받는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반정부 시위 예멘, 바레인, 오만=예멘에서는 수도 사나를 비롯해 전국에서 반정부 시위가 이어졌으며 1일 다시 대규모 시위가 예고됐다. 가장 영향력 있는 2개 부족과 야권 7개 정파 연합체가 27일 시위 동참의 뜻을 표명했다.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은 이날 “예멘 군은 국가 수호를 위해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 대응을 천명해 양측의 충돌이 예상된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수도 마나마에서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바레인에서는 27일 의원 18명이 정식으로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바레인 의회는 전체 40개 의석이어서 이번 의원들의 사퇴는 후폭풍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됐다.
잠잠했던 오만에서도 시위가 발생해 28일 3일째 이어졌다. 반정부 시위대가 제2의 항만인 소하르항 접근 도로를 봉쇄, 석유운송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7일엔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시위 참가자 6명이 숨졌다.
이라크도 지난 25일 전국 17개 도시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경찰이 이를 진압하면서 16명이 숨졌다. 반정부 시위대는 이라크 총선 1주년을 맞아 오는 4일 다시 대규모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뉴욕에 있는 인권단체 ‘이란 인권을 위한 국제연대’(ICHR)는 가택 연금됐던 이란의 야권 핵심인물 미르 호세인 무사비 전 총리와 메흐디 카루비 전 의회 의장이 보안군에게 끌려간 정황이 있다고 27일 발표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