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통’에 대한 정부의 안이한 인식

입력 2011-02-28 17:50

정부가 “대국민 소통이 부족했다”고 스스로 인정했다. 정부 대변인 역할을 맡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가 28일 열린 대국민 업무보고회에서 쓴 반성문 내용이 그렇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 등 상당한 국정 성과를 거뒀으면서도 효과가 희석된 것은 정부의 대국민 소통 부족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정부가 소통 부족을 공개적으로 밝힌 점은 평가할 일이다.

새로운 다짐도 내놨다. 소통 부족이라는 세간의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여 ‘소통을 통한 안정적 국정운영 뒷받침’을 올해 업무목표로 정했다. 각계각층을 아우르고 소통하는 정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홍보 주무부처로서 국민과 함께 가지 않으면 실패한 정부가 될 수밖에 없다는 절박한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정치인 출신 정병국 장관의 시국관도 반영됐을 것이다.

그러나 소통 실패의 원인으로 꼽는 것을 보면 아직도 국민과의 소통에 대해 인식은 안이하고 능력은 부족해 보인다. 문화부는 스마트폰, 트위터, 페이스북 등 뉴미디어와 소셜미디어 확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것이 여론주도층으로 부상한 디지털 세대를 사로잡지 못했다고 파악했다. 과연 그럴까. 미디어 혹은 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20, 30대 국민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했다는 것은 정확한 분석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미디어 자체가 아니라 미디어를 경유해 국민에게 다가서는 정부의 마음과 자세다. 공론정치를 무시한 채 얄팍한 계산으로 미디어나 활용하겠다는 접근방식은 아무런 성과를 낼 수 없다. 정부가 던지는 메시지를 넙죽넙죽 받아 섬기는 언론 수용자는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의 국가과학기술위원장이나 교육문화수석 임명에서 보듯 민심은 안중에 두지 않는 듯한 인사를 해놓고는 아무리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감을 외쳐봐야 도로(徒勞)에 불과하다. 그동안 문화부 장관이 정부 대변인 자격으로 몇 차례나 국민 앞에 섰는지도 돌아볼 일이다. 불통(不通)의 실체를 아는 것이 소통으로 가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