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리비아 제재 만장일치 채택… 카다피와 자녀·핵심 측근, 여행금지·자산 동결
입력 2011-02-28 01:40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6일(현지시간)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와 자녀, 핵심 측근 등 16명에 대한 여행 금지 및 카다피 등 6명에 대한 해외 자산 동결을 주요 내용으로 한 제재 결의를 15개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최근 중동·북아프리카의 시위 사태와 관련해 안보리가 결의를 채택한 것은 리비아가 처음이다.
안보리는 또 “리비아에서의 민간인 공격은 반인도 범죄에 해당할 수 있다”며 국제형사재판소(ICC)에서 즉각 조사에 착수토록 결정했다. 이에 카다피의 차남 사이프 알 이슬람은 미국 ABC방송 ‘디스위크(This Week)’와의 인터뷰에서 “해외에 아무런 자산도 갖고 있지 않다”며 “안보리 제재 조치는 우스갯소리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이날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카다피는 리비아를 통치할 수 있는 적법성을 상실했다”며 카다피의 즉각 퇴진을 요구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직접적인 카다피 퇴진 언급은 이번이 처음이다.
뉴스 사이트 ‘워 인 이라크(War In Iraq)’는 26일 카다피의 부인과 딸 아이샤, 아들 사디, 한니발의 아내와 자녀들이 리비아를 탈출해 오스트리아 빈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카다피의 가족 114명은 빈의 한 호텔을 예약했다고 덧붙였다.
무스타파 압델 잘릴 전 리비아 법무장관은 이날 벵가지에서 “카다피 퇴진 이후를 대비한 과도정부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반정부 세력의 압델 하피즈 고카 대변인은 “해방된 모든 도시를 중심으로 국가위원회를 창설했다”고 말했다.
앞서 기관총과 고사포 등으로 무장한 친정부 세력이 25일 수도 트리폴리에서 반정부 시위대에 무차별 총격을 가해 최소한 수십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카다피는 녹색광장에 나타나 지지자들에게 “리비아를 수호하라”고 촉구했다고 리비아 국영 TV가 보도했다.
리비아 동부를 장악한 반정부 시위 세력은 중무장한 채 트리폴리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6일 보도했다. 또 반정부 시위 세력은 트리폴리의 위성도시 자위야를 장악했다.
한편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대통령이 카다피 지원을 위해 용병을 파견했다고 영국 선데이타임스가 27일 보도했다. 이들 용병엔 북한으로부터 훈련 받았던 제5여단 소속도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유엔 난민최고대표사무소(UNHCR)는 지난 1주일간 외국인을 포함해 10만명 가까이가 리비아를 탈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3·4·5면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