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리비아 유혈사태 더이상 두고 볼 수 없다”…자산동결·무기금수 등 강력제재

입력 2011-02-26 00:28

국제사회가 리비아에 대한 강력한 제재조치 마련에 나섰다. 강력한 군사적 개입은 아니지만 무기금수조치, 해외자산 동결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재조치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리비아 사태로 인한 사망자가 2000명을 넘어선다는 예상이 나오면서 더 이상의 유혈사태를 두고 볼 수 없다는 주요국들의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5일(현지시간) 긴급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안보리 의장을 맡고 있는 마크 라이얼 그랜트 영국대사는 “15개 안보리 회원국이 추가조치를 논의하자는 데 합의했다”며 “가능한 모든 방안을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카다피 일가와 리비아 정부 고위 관리에 대한 여행금지, 비행금지구역 선포 등의 조치가 논의될 전망이다.

캐서린 애슈턴 유럽연합(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도 이날 “리비아 유혈사태를 막기 위한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 며칠 안에 모든 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EU는 제3국의 ‘불량 정권’에 압박을 가하는 제재 수단으로 관련자들의 비자발급 중단, 자산 동결을 주로 사용한다. EU는 이미 지난 23일 모든 회원국의 리비아에 대한 무기 수출을 금지하는 동시에 양자 협력과 관련한 일체의 대화를 중단하기로 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역시 급변하는 리비아 사태를 논의하고자 25일 긴급 상주대표부 대사급 북대서양이사회(NAC)를 소집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NAC는 2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나토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의제와 여건에 따라 정상급, 각료급, 상주대표부 대사급 회의가 열린다.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나토 사무총장은 “현 시점에서 나토가 개입할 수 있는 최우선 순위로는 리비아에 발이 묶인 회원국 국민의 안전한 대피와 인도주의 구호 활동”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바레인을 방문 중인 마이크 멀린 미국 합참의장은 24일 리비아 사태와 관련해 “우리는 최대한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옵션을 대통령에게 보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어떤 군사적 옵션을 검토 중인지 언급하지 않았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