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고위층 출국제한 등 내부단속… ‘중동發 민주화 불길’ 위기감 표출
입력 2011-02-24 22:01
북한이 뒤숭숭하다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대북 소식통은 24일 “북한에서 최근 외부 정보를 차단하고 사상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고위층 등의 출국도 상당히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집트에서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철권통치가 종식되고, 곧바로 북한과 통치체제가 흡사한 리비아까지 민주화 불길이 옮겨 붙은 데 이어 국경을 맞댄 중국에서도 시위 조짐이 나타난 것에 따른 위기감 표출이라는 지적이다.
대북매체들과 탈북자들은 이런 북한 지도부의 위기감이 여러 경로를 통해 표출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데일리NK는 23일 함경북도 내부소식통을 인용해 각 지역 인민보안국마다 100여명 규모의 폭동진압 특수기동대가 조직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친필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자유아시아 방송(RFA)은 평양시내 중심부에 폭동 진압용 탱크부대가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의 특각(별장)에 탱크부대가 배치됐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북한 주민들이 공권력에 저항하는 사례도 꾸준하게 전해지고 있다. 지난 18일 북·중 접경도시인 신의주시에서 시장을 단속하던 보안원이 상인을 때려 혼수상태에 빠뜨리자 피해자 가족과 주변 상인 수백명이 시위를 벌였으나 진압됐다고 일부 언론이 24일 보도했다.
그러나 이런 소식들이 다소 과장됐거나 수시로 벌어지는 사건들을 중동발 민주화 바람과 무리하게 연결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대북 매체 관계자는 “이집트나 튀니지처럼 김정일 정권도 붕괴하길 바라는 입장이기 때문에 중동발 민주화 열풍이 북한에 전해지고 있는 단서를 추적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성과가 없다”면서도 “만성적인 경제난과 화폐개혁 실패로 주민들의 불만이 축적된 것은 사실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부도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 주민들이 단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거나 저항한 경우는 대북 소식통 등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면서 “그러나 정치적 의미를 둘 만한 대규모 또는 집단적인 시위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군은 올 2월 초부터 일용품 1만여 점을 북한에 살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 송영선(미래희망연대) 의원에게 제출한 ‘대북 심리전 현황’에 따르면 우리 군은 2월부터 최근까지 일용품 14종류, 의약품 8종류, 일회용 밥과 라디오 등 1만여점을 살포했다. 대북전단지도 연평도 도발 이후 최근까지 300여만장을 뿌렸다. 전단지에는 이집트와 리비아의 민주화 시위 내용도 담겼다고 송 의원 측은 전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