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내전 사태] 무기거래 중단·자산동결 검토… 국제사회 리비아 제재 나섰다

입력 2011-02-24 21:34

유럽연합(EU)이 리비아와의 무기거래를 중단하고, 미국은 제재 수단 검토에 들어가는 등 국제사회가 리비아 카다피 정권에 대한 실력행사에 들어갔다.

캐서린 애슈턴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23일(현지시간) 브뤼셀에서 EU외무장관 회담을 가진 뒤 EU 회원국들이 리비아와의 모든 무기거래 라이선스를 중단키로 했다고 밝혔다. EU는 이날 성명서에서 EU와 리비아 간에 맺어진 모든 협상을 중단하고, 추가 제재도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고 독일 dpa통신이 보도했다.

현재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인 프랑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은 전투기를 이용한 민간인 대량 살상을 막기 위해 유엔인권위원회가 제안한 리비아 상공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지지를 표명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폭력적인 시위 진압 중단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모든 선택 가능한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산동결, 여행금지, 무기수출금지 등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양자간, 다자간 제재 방안들이 포함될 것”이라면서 “국제사회와 공조를 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군사원조나 무기판매 계획을 재검토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유엔개발계획은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외동딸 아이샤 알 카다피의 유엔친선대사직을 박탈했다.

하지만 각국 이해관계가 달라 가장 강력한 수단인 군사적 개입으로까지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미 글로브앤드메일은 분석했다. 사르코지 대통령이 추진하는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해 EU 내에서 벌써부터 이견이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알자지라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사태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론을 폈다. 그는 군사행동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럴 단계가 아니다”라며 일축했다. 리비아 원유에 크게 의존하는 이탈리아 등도 비슷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러시아는 리비아에 대한 어떤 군사적 행동도 반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