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硏 “유가, 중동 시위 확산땐 추가상승 불가피”

입력 2011-02-23 18:48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3일 “중동의 반정부 시위가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등지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렇게 되면 국제유가의 단기적 추가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KIEP는 ‘이집트발 반정부·민주화 시위의 중동 내 확산 가능성과 영향 평가’ 보고서에서 “우리의 핵심 관찰대상국은 사우디와 이란인 것으로 평가된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는 인구 구성에서 30세 미만 인구가 전체의 60%에 달할 만큼 젊은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 20∼29세 청년실업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우디는 우리나라 원유 수입액의 33.3%인 229억 달러, 해외 건설·플랜트 수주액의 14.7%(대중동 수주액의 22.3%, 105억 달러), 총수출의 1.0%(대중동 수출의 16.1%, 46억 달러)를 차지한다.

한편 리비아 민주화 시위로 중동의 정정불안이 확산되면서 세계 최대 원유 수출국인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치솟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의 국채 5년물 CDS 프리미엄은 22일 기준 142.7bp(1bp=0.01%)까지 급등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다. 올 초까지 75bp 수준에 머물던 것과 비교하면 배가량 오른 것이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