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정지지도 수치에 연연하지 마라

입력 2011-02-23 18:11

이명박 대통령이 내일로 취임 3주년을 맞는다. 그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본보 여론조사에서도 나타났듯이 ‘잘하고 있다’(42.0%)라는 답변이 비슷한 시기 전임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지지도(20∼30%)에 비해 매우 높다. 그렇다고 이 대통령이 이런 수치에 도취해서는 안 된다. 동시에 ‘잘 못하고 있다’라는 응답이 51.4%로 결국 국민 절반 이상이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데 유념해야 한다.

지난 3년을 통털어 ‘친 서민 중도실용’과 ‘공정 사회’라는 양대 국정 지표는 국민이 모두 공감한 의제다. 그럼에도 분야별 편차가 매우 크다. 한·미 공조회복과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등을 통한 국제위상 제고,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 등은 이 대통령이 가장 좋게 평가를 받는 부분이다. 반면 빈부격차해소, 국민통합, 정치개혁, 물가 등 서민생활 안정과 일자리 창출, 공공부분 선진화, 4대강 등에서는 매우 부족했다.

특히 이 대통령이 가장 잘못한 부분은 ‘국민통합과 소통’이다. 소통의 부재는 이 대통령 취임 이후 3년간 계속 되어온 과제이면서도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또한 취임 초부터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부적격 인사들을 배치하면서 시작된 인사난맥은 3년 내내 시정되지 않고 있다. 세종시, 과학비즈니스벨트, 광우병사태, 구제역, 동남권신공항 문제 등 국론 분열이 심각한 대형 현안에 관해서도 매우 대처가 미흡했다. 한마디로 리더십의 부재다.

등반에서도 하산이 더 어렵다. 역대 정권을 보면 임기 2년여 남겨놓은 시점부터 친인척, 측근들의 대형비리가 터져 나왔다. 이 대통령도 이 점에 유념해 임기 후반 기강확립에 한층 더 신경을 쓸 것을 주문한다. 최근 대통령 리더십으로 역사적 안목이 강조된다. 단기적 업적 치중보다 100년 뒤 역사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관심을 두기 바란다. 단기적으로 물가관리 등 경제문제, 소통강화를 통한 국민통합과 더불어 통일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2013년 2월 국민의 사랑과 존경이 담긴 박수와 환호 속에 청와대를 떠나는 이명박 대통령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