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 총리 밝혀… “감사원장 때 감사하니 온갖 외압”

입력 2011-02-22 22:30

“저축은행 부실 문제는 전적으로 금융감독 당국의 책임이다.”

김황식(사진) 국무총리가 22일 줄을 잇는 저축은행들의 영업정지 사태와 관련, 금융감독원 등 금융감독 기관의 책임론을 거론했다.

김 총리는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들과 오찬을 가진 자리에서 “저축은행은 원래 상호신용금고로 서민금융을 하게 돼 있는 것을 저축은행으로 이름을 바꾸고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을 해주면서 문제가 됐다”며 “규정이 있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PF 대출의 부실이 커졌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어 “감사원장으로 있을 때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해 감사에 들어갔더니 오만 군데서 압력이 들어오더라”고 덧붙였다.

김 총리가 감사원장으로 있던 지난해 1월 감사원은 금융감독원에 대한 특별감사에 착수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당시 저축은행의 건전성에 문제가 많다는 얘기가 나와서 서민금융 전체의 실태를 점검하는 차원에서 감사를 시작했다”며 “민간기관인 저축은행이나 상호신용금고 등에 대한 감사권이 감사원에게 없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감독권을 가진 금감원을 상대로 감사를 벌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금감원 감사는 4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됐다.

“금융감독 당국의 책임” “오만 군데서 압력” 등 김 총리의 발언은 금감원이 저축은행의 부실화 위험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알고도 제대로 대처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감사 결과 드러났으며, 감사원 감사를 무마하려는 조직적인 시도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향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와 관련한 금감원 책임론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감사원의 금감원 감사 결과는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감사원 측은 “감사위원회 통과가 안 돼서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