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통시장 살리기 300억 헛돈 썼다
입력 2011-02-22 19:02
광주지역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이 겉돌고 있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통시장의 활기를 되찾기 위해 최근 3년간 300억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됐지만 상권이 여전히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8월 전통시장 이용률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차원에서 남광주시장과 대인시장 등 4곳에 쇼핑카트 160대를 보급했다. 손으로 들기 힘들거나 무거운 구매품을 상점에서 먼 곳의 주차장이나 버스승강장까지 편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자는 발상이었다.
그러나 5개월여가 흐른 현재 전통시장에서 쇼핑카트는 사라진지 오래다. 누군가 고의로 가져가는 사례가 끊이지 않는데다 남은 쇼핑카트마저 관리사무소 등에서 분실을 우려해 시장 한 구석에 쇠사슬로 꽁꽁 묶어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쇼핑카트 도입은 결과적으로 전시행정에 그치고 말았다.
양동시장의 빈 점포와 국제결혼을 한 다문화 이주여성을 활용해 비슷한 시기에 문을 연 양동시장 ‘다문화 행복장터’와 ‘홍어상가’ ‘외국인 전용 야시장’ 등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시는 외지 관광객들이 태국과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 각국의 음식은 물론 특산품인 홍어 등을 골고루 맛보며 식도락과 쇼핑을 함께 즐길 것으로 기대했으나 추운 날씨 탓인지 요즘 이곳을 찾는 발길이 무척 뜸하다. 양동시장 김동원 관리부장은 “겨우 현상유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날씨가 풀려야 방문객이 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렇다고 인명사고 위험을 막기 위해 노후화된 가스안전 시설 등을 제대로 교체한 것도 아니다.
시가 지난해 말 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 조호권(민주·북구5)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는 시내 26개 전통시장을 자체 점검한 결과 46.2%인 12개 시장이 폭발사고에 취약한 최하위 등급으로 조사됐다.
시 관계자는 “올해는 170억원을 들여 좁은 시장통로를 넓히고 상품 진열선을 확보해 시민들이 대형마트보다 편하게 시장을 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