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침출수로 지하수 오염 위험 커지는데… 지자체, 상수도 사업 돈 없어 발동동

입력 2011-02-22 18:28

구제역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 위험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주민들이 마시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상수도 보급 계획이 난관에 부딪혔다.

구제역 사태가 석 달째 이어진데다 이번 겨울 잦은 폭설로 지방자치단체들이 올해 예비비를 대부분 소진, 상수도 보급에 필요한 예산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22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경기도 내 구제역 매몰지 반경 3㎞ 이내 마을 중 상수도 설치가 필요한 곳은 933곳이다. 이들 마을의 6만4784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총연장 2226.7㎞의 상수도관이 설치돼야 한다. 도는 4810억원의 총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문제는 지방 상수도 사업은 국고 지원 비율이 70%여서 도와 기초자치단체가 30%인 1443억원의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다.

도는 구제역 방역을 위해 예비비 287억원을 이미 소진했다. 그나마도 예산이 모자라 매몰지 사후관리 등을 위해 예비비 832억원을 추가경정예산에 편성한 상태여서 상수도 예산 마련이 곤란한 지경이라는 게 도의 설명이다.

동해시 등 강원도 시·군도 올해 예비비가 벌써 바닥을 드러내자 상수도 사업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한편 경북도는 최근 매몰지 1064곳에 대한 긴급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중 27%의 매몰지에 침출수가 고여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게다가 매몰지 12%가 50㎝ 이상 함몰돼 복토 작업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와 관련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가축 사체 분해가 본격화되는 1∼2개월 후면 침출수가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구제역 매몰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수질 및 토양오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매몰지 종합정보지도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이 시스템에는 매몰지 위치와 매몰 가축 종류, 침출수 대응 조치 등이 담긴다.

황일송 기자, 의정부=김칠호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