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야권연대 파괴력은… 4월 재·보선 ‘연합공천’ 성사땐 2012년 총선·대선 연대 가능성도

입력 2011-02-22 23:24

4·27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야권연대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이번 연대가 내년 4월 총선 및 12월 대선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재보선 공천협상 시작=민주당을 비롯한 야4당 대표와 진보성향의 시민사회단체 원로들은 22일 국회에서 대표 회동을 갖고 재보선 연합공천을 추진키로 했다. 이들은 공동선언문에서 “상호 호혜존중의 원칙에 입각해 함께 참여하고 책임지는 방식의 연합을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이명박 정권이 국민을 분열시킨다면 진보개혁세력은 국민을 하나로 만드는 모범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당장 눈앞의 승리에 집착하지 않고 국민 승리란 한 길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의원 재보선의 경우 경남 김해을은 국민참여당이, 전남 순천은 민주노동당이 민주당에 양보를 요구하고 있다. 경기도 성남 분당을과 강원도지사 선거는 마땅한 야권 단일후보가 없는 상황이다.

일단 손 대표가 ‘통 큰 양보론’을 밝히고 있어 공천협상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 내에서는 양보론에 대한 반발이 거세다. 특히 재보선의 연대방식이 총선과 대선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커 치열한 물밑 기싸움도 예상된다.

◇야권연대 파괴력은=야권은 지난해 6·2 지방선거 승리를 통해 연대의 위력을 실감했고, 야권연대만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묘책으로 보고 있다.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는 회동에서 “2013년부터 한국과 한반도의 현실을 크게 바꿔보자는 원대한 희망을 품고 구체적인 설계를 해야 할 것”이라며 “크게 이기고 크게 세상을 바꿀 열정이 없이는 작게도 못 이긴다”고 말했다.

성공적 야권연대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외적으로 정책 통합, 내적으로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런 점에서 민주당의 ‘3+1’(무상급식·의료·보육+반값 대학등록금) 무상복지 정책은 야권연대의 강력한 엔진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그러나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는 민주당이 2월 임시국회에서 직업안정법을 상정해 논의키로 한 것에 유감을 표시하며 “가치연대와 호혜존중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진보신당은 또 다른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야권에서는 각 정당을 2∼3개로 먼저 통합한 뒤 내년 선거에서 야권 단일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와 1대 1로 맞붙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민주당, 민노당과 진보신당을 통합한 통합진보정당, 참여당의 3각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