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스민 혁명 불똥 막아라” 중국 긴장

입력 2011-02-21 21:49

중국 당국이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민주화 시위에 경계를 대폭 강화했다.

일부 시민들이 20일 간간이 벌인 기습시위 이후 추가 시위 움직임은 활발하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2차 시위가 오는 27일로 예정돼 있어 인터넷을 중심으로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여기에 다음달 연중 최대 정치행사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를 앞두고 있어 빈부격차와 물가폭등 등에 대한 서민들의 불만이 폭발할 수도 있다.

베이징의 대표적 번화가인 왕푸징(王府井) 맥도날드 매점 앞은 21일 낮 평온했다. 전날 공안이 대거 배치된 가운데 민주화에 관심을 가진 수백명의 시민들이 몰려들고 일부가 기습시위를 벌이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이 벌어졌던 분위기는 사라졌다. 평소처럼 쇼핑 나온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지만 다소 긴장된 모습이었다.

1989년 천안문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던 인근 천안문 광장도 별다른 움직임은 없었지만 공안들이 집중 배치되고 공안차량이 잇따라 순찰하는 등 경계가 강화된 모습이었다.



중국 공안당국은 인터넷상에 20일 시위장소로 지목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13개 도시뿐 아니라 중국 20여개 도시에 수만명의 공안과 무장경찰을 배치하고 보안등급을 강화했다고 홍콩에서 활동하는 ‘중국의 민주화와 인권을 위한 정보센터’가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홍콩의 인권단체인 ‘중국 인권민주화운동 뉴스센터’를 인용, 19일과 20일에 걸쳐 민주화 운동가 1000명 이상이 중국 각지에서 당국에 연행되거나 외출제한 조치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천안문 민주화운동의 주역이었던 왕단(王丹)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재스민 혁명’을 지지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리지 않았지만 이번 인터넷 행동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고 홍콩 명보(明報)가 보도했다.

중국 정부 수뇌부는 민심잡기에 주력하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은 논평을 통해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19일 베이징에서 성(省)과 부처급 주요 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사회관리 및 혁신토론회에서 한 연설의 핵심은 ‘군중을 존중하라’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