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담보대출 실시 등 ‘예금자 달래기’ 총력전
입력 2011-02-21 22:32
“오늘은 돈이 없고 내일 2000만원을 예금하겠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1일 부산에서 저축은행 대책회의 후 돌아오는 길에 이렇게 말했다. 그러면서 “상반기에는 추가 영업정지가 없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금융정책 수장으로서 성난 부산 시민들을 달래기 위한 차원이다.
김 위원장은 우리저축은행 객장에 몰려든 고객들에게 예금인출 자제를 호소했다. 이 덕분인지 이날 오후 2시 현재 우리저축은행의 예금인출액이 46억원으로 18일 오후 2시 186억원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금융당국은 김 위원장의 고객설득 작업과 병행해 예금보험공사 금융감독원 저축은행중앙회와 공동으로 전국 순회설명회를 여는 등 민심 달래기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김 위원장은 22일에는 목포에서 대책회의를 열 예정이다. 그러나 현장 설득작업만으론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근본적인 대책이 나와야 예금인출 도미노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김 위원장이 이날 부산 상공회의소에서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통해 발표한 저축은행 안정대책은 그간 계속된 영업정지로 인한 파장을 줄이는 후속대책에 불과하다. 예금자 가지급금의 지급시기를 일주일 앞당기고 시중은행 도움으로 예금담보대출을 받게 해줄 예정이지만 고객의 불안감을 해소시켜 당장 발등의 불인 예금인출 사태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정부는 또 부산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기존 보증 만기도 1년간 연장하는 한편 기업은행을 통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3억원 이내에서 경영안정자금을 대출해 주기로 했다. 이런 방안들 역시 당장 돈이 묶여 이 지역 실물경제가 제대로 돌아가지 못할 것을 우려한 긴급 유동성 공급 대책의 성격이 강하다. 또 정부가 마련한 저축은행 유동성 지원방안도 국회에서 최대 3조5000억원의 구조조정기금 보증 동의안이 하루빨리 통과되지 않는 한 급한 불을 끄기 위한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이날 하루 예금인출액을 보면 당국 대책에도 불구하고 아직 불안감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부산의 12개 저축은행 가운데 영업정지 된 2곳을 제외한 10개 저축은행 예금인출액은 757억원으로 지난 18일 554억원보다 더 늘어났다. 새누리저축은행의 예금인출액이 18일 180억원에서 이날 오후 3시30분 현재 120억원으로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대주주인 한화그룹이 증자규모를 당초 20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증액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2.7%에서 12.07%로 늘렸기 때문이다.
이동훈 강준구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