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3년 여론조사] 개헌 여부·시기… “개헌 필요” 20·30대 60% 넘어”
입력 2011-02-21 18:06
우리 국민의 절반 정도는 개헌의 필요성엔 공감하나 이를 시급한 이슈로 생각하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헌에 대한 찬반을 묻는 질문에 ‘그동안의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고려해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가 54.8%, ‘현재 헌법으로도 큰 문제가 없으므로 바꿀 필요가 없다’가 37.3%로 조사됐다. 모름·무응답은 7.9%였다.
19∼29세와 30대에서 개헌을 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각각 65.2%, 60.5%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개헌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70.5%로 가장 높았고, 대전·충청이 59.9%로 두 번째였다.
하지만 개헌 시기에 대한 의견을 묻자 ‘다음 정권으로 미루자’가 49.2%로 ‘현 정권 내에 하자’(41.4%)보다 더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9.4%였다.
이념 성향이나 지지 정당에 따라 개헌 시기에 대한 입장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지지 성향의 응답자 가운데는 현 정권 내에 하자는 의견이 52.7%로, 다음 정권으로 미루자(38.7%)보다 월등히 많았다. 반면 민주당 지지 성향 응답자 사이에서는 다음 정권으로 미루자는 의견이 54.9%로 현 정권 내에 하자(35.6%)를 크게 앞질렀다. 이념 성향별로도 자신을 진보라고 생각하는 이들은 다음 정권으로 미루자가 57.6%로 현 정권 내에 하자(36.4%)보다 높았다. 보수 성향의 응답자들은 현 정권 내에 하자가 49.6%로 다음 정권으로 미루자(43.8%)를 6% 포인트 정도 앞섰다.
학력이 높을수록 개헌을 다음 정권으로 미루자는 응답이 높았다. 중졸 이하 30.3%, 고졸 48.4%, 대재 이상은 55.9%로 조사됐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개헌을 미루자는 의견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개헌 필요성과 마찬가지로 대구·경북에서 현 정권 내에 하자는 응답이 55.6%로 가장 높게 나왔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개헌 공감대는 일정 부분 형성돼 있는데 그 시급성에 대해서는 다소 주저하는 듯한 양상”이라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